
'건강한 환경' 제약사 사회적 책임

코로나19가 무서운 이유는 아직 백신과 치료제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중국 등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다. 서로가 백신·치료제를 먼저 손에 넣기 위해 속도전을 펼치는 양상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특정 국가나 제약사가 백신·치료제를 독점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한다. 다른 나라에 비싸게 팔거나 아예 수출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이사 사장은 '백신 주권'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한승 사장은 "백신을 개발하지 못하면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가 진단키트 주권을 가졌던 것처럼 백신 주권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백신 주권은 코로나19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다. 앞으로 또 다른 바이러스 전염병이 인류를 위협할 게 분명하다는 점에서다. 그는 "사기업이 백신 개발 비용을 모두 부담하긴 어렵다"며 "정부는 백신 주권 확보를 중요 어젠다로 정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고한승 사장은 코로나19 사태가 제약사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고도 했다. 그는 "많은 사람에게 건강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제약사의 미션 중 하나"라며 "제약사들이 사회적 책임에 대해 예전보다 많은 생각을 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한국이 코로나19 방역·위생 모범 사례로 평가받으면서 바이오 산업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고한승 사장은 냉정함이 필요하다고 했다. 고한승 사장은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면 안 된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무엇이 필요한지, 어떻게 혁신해야 하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또 "코로나19가 한국산 의약품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심어준 건 맞지만, 전체적으로 큰 변화가 생기진 않을 것"이라며 "제약사들이 경쟁력 있는 제품을 꾸준히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새로운 감염병에 대응하고 바이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선 전문 인력 양성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했다. 고한승 사장은 "바이오의약품을 연구·개발하는 회사들의 첫 번째 고민은 사람이 없다는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인력 양성 구조가 열악하다"고 했다.
이어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에 과감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했다.
우리나라가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잘 대처했다는 평가를 받는 것과 관련, 고한승 사장은 "우리가 대처를 잘한 것은 정부가 방역 체계를 갖춰 놓고 전문가들이 사태에 대해 조언하고 지침을 만든 것"이라며 "이런 사태는 전문성이 필요한 것이다. 국민들이 전문가 얘기를 신뢰했기 때문에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문가들이 중심이 돼 의견을 내고 제도를 개선해 나간다면, 또 다른 위기도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