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3회_인천광역시의회_제1차_정례회_제4차_본회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이 10일 제263회 인천시의회 제1차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인천시의회 제공

시의회 본회의 참석 도성훈 교육감
"학교모습·교사역할 등 질문 남겨"
원격수업 활성화·취약층 돌봄 강화
지역 외면 중앙집권시스템 지적도


인천시교육청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비대면·맞춤형' 교육을 위한 인천 교육의 대대적 개편을 추진하기로 했다.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10일 제263회 인천시의회 1차 정례회 4차 본회의에 나와 "이번 코로나19는 앞으로 학교의 모습, 교사의 역할, 교육 과정, 교사 양성·승진 과정은 물론 원격수업을 위한 집은 어떤 공간이어야 하는가 등에 대한 질문을 남겼다"며 "특히 원격수업이 미래 교육의 한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다고 보고, 이를 지원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성훈 교육감은 이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천 교육이 나아갈 방향으로 원격 교육 활성화, 맞춤형 플랫폼 개발·교육, 취약 아동·청소년 돌봄 강화 등을 제시했다. 코로나19로 갑작스럽게 원격 교육이 요구되자 교육 현장에서는 관련 인프라는 물론 교사들의 역량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떠올랐다.

여기에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다문화 가정이나 외국인 학생의 경우는 더욱 수업 과정을 따라잡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부분 학생들이 원격 수업 시 부모의 도움을 받고 있는데, 맞벌이나 조손가정 학생은 교육 공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그러나 원격교육이 장애·지병 등 대면 수업이 어려운 학생에 대한 대안 교육이 될 수 있고, 대면 수업을 보완할 수 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재평가받기도 했다.

도 교육감은 "원격교육 운영을 위한 장비 마련, 교원 교육에 예산을 투입하고, 한국어가 부족한 학생에게도 번역기를 결합한 화상 강의 플랫폼 등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 교육감은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중앙집권적' 교육 정책 결정 시스템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인천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이 첫 등교를 시작한 지난달 20일 새벽 고3 학생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자 미추홀구·연수구 등 5개 구 66개 고3 학생 1만3천여명을 오전 중 귀가 조치했다. 당시 도 교육감은 인천에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하게 늘자 교육부에 등교 연기를 건의했지만 교육부는 등교 조치를 강행했다.

도 교육감은 "코로나 확산세가 약한 지역은 등교를 주장하고, 어려움을 겪는 대구·경북과 같은 지역은 원격 수업을 하길 바랐는데 개학 논의 과정에서 이러한 지역 특성이 고려되지 않아 필요한 여러 조치를 결정하지 못하기도 했다"며 "중앙집권적 시스템이 아닌 자치분권적 체계로 학교 특성에 맞는 지침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