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ㅇ1.jpg
수도권 매립지 매립 완료시점이 앞당겨지고 경기도가 배출하는 생활폐기물량이 증가하자 지자체마다 쓰레기 처리량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쓰레기 대란이 예고 되고 있다. 사진은 17일 용인시환경센터 폐기물매립지.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인구증가 화성시, 3배 가까이 처리
'2018년 기준 설정' 불합리 지적도


경기도민들이 생활폐기물을 처리하지 못하고 집 앞에 쌓아놓게 될 날이 턱밑까지 다다랐다.

올 한 해 동안 수도권매립지에 반입할 총량을 이미 두배 이상 초과한 지자체가 있는가 하면 일부는 70%를 초과했다.

17일 경기도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하 SL공사) 등에 따르면 수도권 매립지에 생활폐기물을 매립하는 30개 지자체 중 1∼5월 누적 반입 총량 대비 매립 비율이 50%가 넘은 지자체는 10개 지자체인 것으로 조사됐다.

화성시는 5월말 현재 반입 총량(2천584t)보다 3배 가까이 되는 7천139t을 매립했고, 남양주시는 반입 총량(1만2천286t) 중 9천523t(77.5%)을 이미 매립했다. 광주시(6천139t·69.5%)도 반입 총량에 근접했다.

반입총량제는 지자체별로 2018년 반입량의 90%를 올해 반입 총량으로 정하고 이를 어길 경우 2021년 5일간 매립 중지와 총량을 넘긴 폐기물에 대해 수수료(1t 당 7만56원)를 이중 부과한다.

수도권매립지 제 3-1매립장의 매립 완료 시점이 당초 계획했던 2025년 8월보다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아지자 전체적인 생활폐기물 반입량을 줄이기 위해 올해부터 시행됐다.

수도권 매립지 매립 완료시점이 앞당겨지고 경기도가 배출하는 생활폐기물량이 증가하자 지자체마다 쓰레기 처리량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쓰레기 대란이 예고 되고 있다. 사진은 17일 용인시환경센터 폐기물매립지.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일부 지자체들의 매립지 생활폐기물 반입량이 늘어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택지 개발에 따른 인구증가 때문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동탄 2신도시를 비롯해 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면서 연간 8%씩 인구가 늘고 있다"며 "2018년을 기준으로 총량을 정하게 되면 반입 총량을 맞추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지자체들은 생활폐기물 매립량을 줄이기 위해 소각장 등 폐기물 처리시설 증설을 준비하고 있지만 주민 반발 등으로 설립이 어려운 상황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자원회수시설이나 소각시설을 늘리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지역주민 반발로 추진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총량제 기준을 2018년이 아닌 전년도로 하는 방안도 SL공사와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원근기자 lwg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