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수업 병행·시험 준비 격무
역할 대체할 보결교사 등 없어
학생같은 자가진단시스템 촉구
이천의 한 고등학교에서 3학년 담임교사가 코로나19에 확진된 것을 두고 교사들은 '터질 것이 터졌다'며 자가진단시스템을 도입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일부 시민과 언론이 해당 교사가 증상이 있었는데도 학교에 출근한 것을 비난하고 엄태준 이천시장까지 나서 호소문을 통해 "코로나19 의심증세가 이미 있었음에도 한참을 방치하다 늦게서야 선별진료소에 온 사실이 확인됐다"고 말하자 교사들이 '오죽하면 나왔겠냐'는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기교사노동조합은 18일 '이천의 코로나 감염 교사를 위한 변명'이라는 성명서를 내고 "일부 언론과 이천시장까지 나서 해당 교사가 마치 자신의 증상을 방치한 것처럼 표현하고 나선 것은 이런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뿐만 아니라, 현재 학교에서 교사가 처한 상황을 조금도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해당 교사가 확진 판정을 받기 며칠 전 근육통 등 이상 증상이 있어 병원을 방문했고 '몸살감기'라는 의사 소견에 따라 약을 복용, 증상이 호전되자 가벼운 감기로 인식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학교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중등학교는 1차 지필고사에 이어 그동안 미뤄왔던 수행평가를 진행하고 있다"며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수시 전형 준비를 위해 학생 및 학부모 상담, 자기소개서 준비 등 입시 준비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노조 관계자는 "상당수 교사들이 학생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으려고 주말에 외출도 삼갈 만큼 조심하고 있다. 또 원격과 등교수업을 병행하며 격무에 시달리면서도 아프다고 병가조차 자유롭게 쓸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등교수업이 시작된 지난달부터 등교 전 학생들이 '자가진단시스템'을 통해 등교 여부를 결정하는 것처럼 교사에게도 자가진단시스템을 도입하라고 교육부에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노조 측은 "학교에 학생과 교사가 함께 생활하는데, 교사에게만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아 교사에 의한 학교 내 감염 위험을 방치하고 있다"며 "사실상 교사가 아플 때 그 역할을 대체할 보결교사 등 대체인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병가도 못쓰는 교사들 "오죽하면 나왔겠나"
이천 고교 확진자 비난이 유감스러운 교직사회
입력 2020-06-18 21:55
수정 2020-06-18 21:55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6-19 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