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 값 폭락' 업계 어려움 해소
가격연동제·공공비축·수요처확보
환경부가 재활용 페트 가격 하락으로 발생한 재활용업계의 어려움(7월 24일자 1면=더는 못한다는 재활용업체 '쓰레기 대란 온다')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시행한다.
26일 환경부에 따르면 코로나19로 플라스틱 활용이 늘고, 유가 하락으로 신제(석유에서 처음 뽑아낸 플라스틱)가 선호되면서 재활용 페트업계가 어려움에 빠진데 대해 가격연동제·공공비축·수요처 확보 등 3가지 대책을 마련했다.
대책의 배경에는 수도권을 무대로 활동하는 재활용 업체가 겪고 있는 경영난(7월 13·14·15일자 보도)이 영향을 미쳤다. 환경부 측은 "얼마 전 국내 최대 페트 재활용업체가 선별업체에 매입단가를 낮추려 했다.
이럴 경우, 선별업체가 다시 수거업체에 단가를 인하하게 되는 요인이 돼 재활용 페트시장 전체가 불안정해 질 수밖에 없다"고 대책의 배경을 설명했다.
'재활용업체→선별업체→수거업체'로 이어지는 연쇄 효과를 막기 위한 첫 번째 대책은 가격연동제다. 통상 1년 단위로 계약하는 아파트와 수거업체의 재활용 매입단가를 시장가격과 연동하도록 바꿔 수거거부 사태를 막겠다는 게 골자다.
이 밖에 재활용 페트 가격 폭락을 막기 위해 팔리지 않는 재활용 페트를 사들여 공공비축하고, 자동차 내장재 등 재활용 페트의 수요처를 확대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하반기 페트병 분리배출로 재활용 재료의 품질을 높이는 한편, 여러 대책이 시행되면서 재활용 시장도 안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