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9월까지…내년 예산 집중반영
매립종료 따른 자원순환 정책에
해상풍력·스마트산단 등도 담겨


인천시가 문재인 정부 후반기 국정 기조인 '한국판 뉴딜' 정책 대응을 위해 오는 9월까지 '인천형 뉴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사업을 내년 예산에 집중 반영하기로 했다.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경제와 저탄소·친환경 그린(Green)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2025년까지 100조원을 투입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정부는 각 자치단체가 선도적으로 관련 사업을 발굴해 제시하면 국비 등을 과감히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3일 실·국장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인천형 뉴딜을 통해 인천의 현안을 해결하는 동시에 도시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며 "인천의 미래는 수도권을 위해 희생하는 과거형 도시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기술, 글로벌 인재와 자본이 모이는 선도 도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가 9월까지 수립할 인천형 뉴딜 종합계획에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위한 미래형 자원순환 정책을 비롯해 해상 풍력 발전, 스마트 산단 조성, 스마트 상·하수도 체계 구축, 미세먼지 감축 대책, 전선 지중화, 도서 지역 스마트 의료 체계 확충 사업 등이 중점적으로 담길 전망이다.

특히 시는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종료에 따른 친환경 자원 순환 모델 구축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박남춘 시장은 "쓰레기는 버린 곳에서 버린 사람이 치우는 게 상식이며 현재 시가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 폐기물 관리 방안과 자체매립지 조성 논의는 당연한 상식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천시는 앞으로 자체매립지 조성과 친환경 처리시설 도입 등을 통해 전국 모든 지방정부에서 미래 자원순환 정책의 길을 제시하는 모범적 도시가 될 것"이라며 "정치적으로 불리해지고 선거에서 표를 얻지 못하더라도 가야 할 길을 더 이상 미루지 않겠다"고 했다.

인천시는 시장의 이런 방침에 따라 '인천형 뉴딜 TF(태스크포스)'를 구성, 인천의 특성을 살린 뉴딜 정책 계획을 오는 9월까지 수립하기로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그린·디지털)을 기본으로 하되 인천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바이오 산업 뉴딜을 추가해 인천형 뉴딜 정책을 완성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