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시·공연기사, 장소·기간등 정보 누락
사람들, 지역민 개개인에 초점 맞췄으면
'수돗물 유충사태 긴급진단' 등 호평도
경기·인천지역의 역사와 함께 한 경인일보는 13일 오전 11시 경인일보 사옥 3층 브리핑룸에서 인권·청년·문화예술 등 각계각층의 전문가 8명을 독자위원으로 위촉했다.
이번 독자위원회는 지난 2018년 7월 회의를 끝으로 잠정 중단했다가 2년여 만에 부활했다. 경인일보는 이날 독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신문에 반영하는 '멋진 신문'으로의 새출발을 선언했다.
위촉식과 7월 독자위원회 회의에 경인일보 배상록 대표이사 사장과 김학석 편집국장, 이재율(미래사회발전연구원 원장) 위원, 정종훈(수원시민사회단체협의회 상임공동대표) 위원, 김민준(정의당 경기도당 청년위원회 집행위원) 위원, 김윤아(서울 스페이스나인 전속작가) 위원, 김준혁(한신대 교수) 위원, 안은정(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 위원, 유혜련(법무법인 정직 변호사) 위원, 김영래 사회부장 등이 참석했다.
배상록 경인일보 대표이사 사장은 "디지털 전환기에 우리 신문은 환골탈태하는 마음으로 도전적인 시도를 통한 변화를 꾀하고 있다"며 "독자위원회가 경인일보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조언을 해준다면 독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최대한 반영해 내는 신문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당부했다.
이재율 위원은 위촉식 이후 차담회에서 "언론이 대격변을 맞이하고 있다"며 "뉴스를 신문으로 접하는 비율이 미미하지만, 뉴스는 영원히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면서 사회 발전에 필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미력하나마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하는 데 동참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김준혁 위원도 "현재 어려운 경제사정과 정치현실, 남북관계를 올바르게 풀어내는 정론직필의 역할을 기대한다"며 "소외된 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대변하는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서면으로 대신한 7월 독자위 회의에서 유혜련 위원은 의회 후반기 상임위원장 연속 인터뷰 기사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기 어려운 도의회 의원들의 생각과 정책 방향을 시의 적절하게 보도했다"고 평가했다.
또 평소 법률상담 의뢰가 잦은 아파트내 교통사고와 자전거 횡단도 관련 정보 제공 기사와 수돗물 유충 사태에 대한 긴급진단을 통해 원인과 해법을 제시한 연속 보도도 의미가 컸다고 호평했다.
도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두자리 수를 기록하던 시점에 거리를 두긴 했으나 사람들이 다수 모인 공연 사진(7월13일자)을 배치한 점은 코로나19 경각심 측면에서 다소 아쉬웠다고 짚었다.
김민준 위원은 '수도권의 또 다른 이름 철도권' 7월 통큰기사가 수도권 교통 변화 양상을 잘 담아내면서 경인지역에 초점을 맞춘 교통정책 필요성을 제시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6~7월 연재한 국민방위군 기획 보도는 전쟁을 직접 겪지 않은 세대의 한국전쟁 이해와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잘 담아냈다고 봤다.
문화면에 중점을 두고 7월 지면 기사를 톺아본 김윤아 위원은 "전시 또는 공연기사에 장소와 기간, 연락처, 휴관일 등 독자들이 궁금해하는 정보가 거의 다 누락돼 있다"며 "전시공연 관련 기사에 작가의 일률적인 인터뷰 외 평소 철학과 개념을 담아 독자들의 공감대와 흥미를 충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안은정 위원은 언론의 인권 친화적 언어 사용을 제안했다. 그 사례로 '공급대책 빠진 7·10 절름발이 대책'(7월13일자)이라는 제목을 들어 절름발이라는 표현은 장애인을 비하하고 혐오와 차별을 양산하는 표현이므로 사용하는 언어에 담긴 의미를 다시 한번 새겨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 위원은 또 이천 한익스프레스 물류센터 화재에 대한 명명을 산재, 화재, 참사 등 상이하게 표현한 점에 대해 사건의 유형을 명확히 구분해 노동재해의 문제로 규정하고 동일한 언어의 사용을 토대로 객관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사람들 면 구성이 기관·단체의 선행을 나열하는 데 그쳐 아쉬운 점이라고 짚으며 지역을 살아가는 사람 개개인에 초점을 맞춰 구술형식으로 담는다면 지역 언론이 미시사(微視史)를 기록한다는 차원에서 더 큰 의미가 있겠다고 강조했다.
정종훈 위원은 경기도의회의 차별금지법 공론화 움직임 관련 기사(7월23일자)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에 부정적인 의미로 비쳐지는 문장을 기사문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고 평했다.
자본과 독재권력의 편에 서서 기득권을 누린 일부 대형 교회의 반대 주장일 뿐인데도 찬·반 갈등이 이어져 차별금지법 제정이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물음표로 남아있다는 문장이 다소간 아쉬웠다고 짚었다.
정 위원은 "혐오와 차별의 대상은 대부분 사회적 약자"라며 "자본과 권력의 입장이 아닌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심층적인 기사를 지면에 더 할애하기 바란다"고 했다.
/손성배기자 s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