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회·포럼 구성, 실행계획 구체화
市, 지원 필요… 지역 접점확대 기회
민간 논의·협력 '바텀업' 구조 중요

2020082001000849100043901



인천국제공항 상주 직원 규모는 7만여 명이다. 전국에 있는 1천200여 개 산업단지 중 7만명 이상이 일하는 산업단지는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 등 10개가 채 되지 않는다. 인천공항은 이미 대규모 산업단지 기능을 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는 '관문'의 역할에 머물고 있는 인천공항의 '약점'을 드러냈다. 인천공항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없애고 지금보다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천공항경제권' 조성이 꼽힌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인천시 등은 항공 MRO(수리·정비·분해조립) 클러스터 조성 등을 포함하는 '인천공항경제권'을 구축해 인천공항을 '수요 창출형' 공항으로 변모시킨다는 계획이다.

한국에 오기 위해서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것을 넘어 인천공항 일대를 산업 거점으로 만들어 공항 이용 수요를 스스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는 인천공항의 지속가능성과 장기적 발전,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선 공항 당국과 지역사회의 유기적 협력이 필수적이다. 최근 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 등이 협의체를 구성해 뜻을 모은 것은 인천공항경제권 조성에 첫발을 내디딘 것으로 평가받는다.

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 인천경제자유구역청, LH,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8개 기관은 지난달 '인천공항경제권협의회'를 발족했다. 이들 기관은 인천을 세계적 항공산업 혁신도시로 육성하기로 뜻을 모았다.

인천공항경제권 구축과 관련해 학계 등의 의견을 듣기 위한 '인천공항경제권 포럼'도 만들 예정이다. 인천공항공사가 추진하는 이 포럼은 인천공항경제권 조성 과정에서 '싱크탱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협의회와 포럼은 상호작용하면서 인천공항경제권 조성계획을 구체화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인천산학융합원 유창경 원장(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은 "인천공항 활성화는 결국 지역 사회 발전으로 이어진다"며 "인천공항이 어려운 상황을 겪고 있는 만큼 인천시가 적극적으로 유무형의 도움을 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어려울 때 돕는 친구가 진짜 친구'라는 말이 있다. 이 시기에 관계가 더욱 가까워진다면 인천공항과 지역 사회를 잇는 접점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관 간 협력뿐 아니라 민간차원의 논의와 협력도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국폴리텍대학 김형래 교수는 "인천공항을 구성하는 다양한 산업군이 있다. MRO, 항공운송 등 분야별로 협의 테이블이 마련되고 이곳에서 나온 의견들이 정책으로 이어지는 '바텀업' 구조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이어 "인천공항경제권을 구축할 때 최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듣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