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12441.jpg
지난 18일 수원시의 한 PC방 입구에 영업중단 안내문이 붙어 있다.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고위험시설 12종 갑작스레 문닫아
"동네 술집은 되는데 우리는 왜…"
PC방 업계등 '형평성 문제'도 성토
손실보전등 정부 후속 대책 목소리


사회적 거리 두기가 2단계로 격상되면서 갑작스럽게 문을 닫게 된 업계들이 정부 조치가 일방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방역 당국은 지난 19일 실내 50인 이상·실외 100인 이상 모임을 금지하면서 수도권 내 고위험시설 12종의 영업을 중단하기로 했는데, 당장 문을 닫게 된 업종들은 타 업종과의 형평성 문제, 영업 손실 등을 이유로 후속 대책들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고위험시설로 지정돼 영업이 중단된 시설은 유흥주점, 콜라텍,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 포차, 노래연습장, 실내스탠딩 공연장, 실내집단운동, 뷔페, PC방, 직접판매홍보관, 300인 이상 대형학원 등이다.

이중 고위험 시설로 새롭게 지정된 PC방의 반발이 가장 거세다.

수원에서 PC방을 운영하는 A씨는 "교회나 카페 등에서 집단 감염이 일어나고 있고 PC방에서는 아직 감염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당장 주문해 놓은 비품들을 버려야 하는 등 손실이 상당한데 정부는 영업 중지만 명령하고 손실 보전 등의 대책은 아직 내놓고 있지 못하다"고 토로했다.

A씨는 이어 "PC방은 칸막이 처리가 돼 있고 게임 등에 집중하느라 마주 보고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드물다"며 "음식을 먹거나 주류를 마시는 카페, 호프집, 동네 술집 등은 비말 전파가 (PC방에 비해)훨씬 쉬워 정부의 고위험시설 지정이 형평성에 맞지도 않다"고 말했다.

한국인터넷PC문화협회는 영업 제한 조치가 발표된 이후 정부에 PC방 업종을 고위험시설로 지정한 근거와 이유를 밝히고, 생존권을 위한 대책 마련을 호소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고위험군에 대한 기준이 모호해 세부적인 대책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 PC방이나 뷔페 시설들이 문을 닫은 20일 광교 갤러리아 백화점 문화센터는 오전에 회원들에게 쿠킹 클래스가 정상적으로 운영된다는 안내 문자를 보냈다. 문자를 받은 B(30)씨는 "시식 등이 필수 코스여서 강좌 도중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수업"이라며 "정상 진행한다는 내용에 의아했다"고 설명했다.

전날 수원시 영통구의 대단지 아파트에서는 방역 당국의 발표와 달리 수 백명이 모이는 장터가 열리기도 했다.

용인에 사는 김모(35·여)씨는 "프리미엄 아울렛 매장들도 체온 체크 여부가 제각각이고 고객 통제도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원근·신지영기자 lwg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