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태풍 '장미'가 몰고 온 파도
제5호 태풍 '장미'가 제주도에 근접한 지난 10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표선읍 토산2리 해안가에 강한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연합뉴스

제 8호 태풍 바비(BAVI)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면서 27일께 수도권을 지날 것으로 보인다.

애초 진로는 한반도를 관통해 동해안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됐지만, 차가운 공기 영향으로 이보다는 서북쪽으로 방향이 틀어질 것으로 보인다.

23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바비는 현재 타이완 타이베이 동북동쪽 약 280km 부근 해상에 위치해 있다.

현재 중심기압 990hpa, 최대 풍속 86km/h(24m/s) 규모지만, 따뜻한 해역을 통과하면서 점점 세져 오는 26일 오전 9시께 서귀포 인근 해상에 인접할 때는 중심기압 945hpa, 최대 풍속 162km/h(45m/s) 규모로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동해안으로 빠져나갈 것이란 예상경로도 인근 차가운 기압대의 접근으로 서쪽으로 수정됐다.

오는 24일 오전 4시 서귀포 남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 도착해 26일 제주도를 통과하고, 27일 오전엔 수도권에 최근접 한 뒤 28일 새벽 북한 평양인근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해 강력한 바람으로 숱한 피해를 안겼던 태풍 링링과 비슷한 패턴이다. 예상 경로도 비슷하다. 
태풍 링링도 발생 당시 소형급이었으나 29도 이상인 고수온 해역을 지나면서 세력이 강해져 전국에서 강풍 피해가 속출했고, 3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111.jpg
제 8호 태풍 바비(BAVI) 예상 이동경로. /기상청 제공

태풍 바비는 링링보다 더 강하게 한반도 인근을 지날 가능성도 있다. 당시보다 해수온도가 30도로 더 높은 까닭이다. 50이상일 때 태풍 발달에 크게 기여하는 해양열량도 50~60정도로 높은 상태다.

실제 26일 오전 9시엔 중심기압 945hpa, 최대 풍속 162km/h(45m/s) 규모로 예상되기도 했다. 태풍 매미가 제주도 인근에 위치할 때 중심기압이 935hpa였음을 고려하면 심각한 피해도 우려된다. 다만 태풍 매미가 상륙했을 땐 중심기압이 950hPa대를 유지했지만, 이번 태풍은 점차 약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태풍이 서해안을 따라 북상할 것으로 보이면서 앞선 태풍 링링처럼 강풍피해를 조심해야 한다. 

기상청 관계자는 "26일밤과 27일 사이 제주도 전라 서해안 중심으로 최대순간풍속 180~216km/h(50~60m/s)에 달하는 매우 강한 바람이 불고, 그 외 지역엔 126km/h(35m/s)의 강한 바람이 불겠다"고 내다봤다.

비 피해도 우려된다. 제주도와 지리산 산지에는 100~300mm, 많은 곳은 500mm 이상의 많은 비가 예상된다. 전라도는 50~150mm, 수도권 등 다른 지역은 30~100mm의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 관계자는 "집중호우로 수해복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 다시 피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태풍방재대응을 보다 철저히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동필 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