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이 시진핑 주석의 조기 방한 원칙을 재확인하면서 양국 간 외교·안보 현안 해결의 계기가 될 것으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서훈 국가안보실장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은 지난 22일 부산에서 회담과 오찬을 포함해 총 5시간 50분간 회동하며 코로나19 대응 협력을 비롯해 한반도 평화 문제와 경제위기 등 외교 현안을 폭넓게 논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이 자리에서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조기에 성사시키는데 뜻을 모았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양측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돼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시 주석의 방한을 조기에 성사시키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전국적으로 급증하면서 시 주석의 방한이 내년으로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일고 있다.

중국이 '코로나19 상황 안정 시 방한'이라는 단서를 달았고 특히 '연내 방한' 추진에 관한 별도의 언급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 주석 방한을 한·중 FTA 2단계 협상과 한한령 해제 등 양국 간 경제 협력 및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절호의 계기로 삼으려던 정부 계획에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결국 시 주석이 지난 5월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에서 "올해 중 방한하는 데 대해 굳은 의지는 변하지 않았다"고 언급한 만큼 관건은 국내 코로나19 안정화 시점이다.

이와 관련 강 대변인은 "방한 시기 등 구체 사안에 대해서는 외교당국 간 지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며 "중국 측은 '한국이 시 주석이 우선적으로 방문할 나라'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성철기자 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