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프로젝트 '원격 개발' 필요 증가
탄력적 '프리랜서 고용' 보편화 시작
비용부담 적고·적재적소 투입 장점
추세 이어진다면 '선순환' 기대된다

이러한 근로 환경의 전환 추세는 특히 IT 산업 내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IT 산업은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최근 비대면 근로환경 구축을 위한 IT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고, 온라인 교육이나 비대면 의료 서비스와 같은 언택트 산업에 관한 IT 프로젝트 또한 기존대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증가하고 있는 IT프로젝트 건과 비례해 현재의 프로젝트 개발 수행 행태 또한 비대면 원격지 개발로 전환되고 있다. 그간의 IT 프로젝트 개발 과정은 발주처가 지정한 장소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코로나19 이후 프로젝트 개발환경이 비대면으로 전환하기 시작하면서 원격지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원격지 개발이 보편화된다면 개발인력의 고용 환경 또한 비대면으로 바뀌어야 하며, 이는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프리랜서 고용 시장을 통해 탄력적인 단기 고용을 보편화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IT 프로젝트 개발자에 대한 비대면 단기 고용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프로젝트 개발인력 상시고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절감에 있다. ICT 개발 사업을 수주하여 수행하는 기업들이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크게 고민하는 문제가 바로 전문 개발 인력에 대한 투입비용 산출 문제다.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PM(Project Manager)역할이나 운영 및 분석하는 인력은 상시 고용을 통해 안정적인 사업수행을 가능하게 해야 하나, 개발 인력은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요구하는 전문분야가 달라지기 때문에 상시고용보다는 탄력적인 단기고용이 더욱 효과적이다. 현재 프리랜서 고용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기업은 이러한 고용시장의 특성을 잘 활용한다면 상시 고용이라는 장기적인 비용 부담을 내려놓고 프리랜서 단기고용을 통해 적재적소에 알맞은 개발인력을 투입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온택트(Ontact:Untact+Online)를 통한 객관적인 지원자 능력검증에 있다. 대기업과 같이 지원자에 대한 자체평가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이라면 기존과 같이 서류를 통해서는 ICT분야 개발인력의 역량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쉽지 않으며, 고용을 위해 기업이 부담하는 시간 또한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지원자의 능력에 대한 확신 없이 상시고용이라는 부담을 떠안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비대면 프리랜서 단기고용은 기업이 지원자 개인이 보유한 다양한 컨텐츠와의 온택트(Ontact)를 통해 지원자의 개발 포트폴리오나 산출물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을 제공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비대면으로 적재적소에 맞는 지원자에 대한 고용을 실현하여 프로젝트를 더욱 효율적,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T프로젝트의 증가추세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며, 현 IT개발자의 고용형태는 조직에 귀속되기 보다는 자유로운 작업 시간 배분과 비대면 작업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프리랜서 고용 추세로 변화할 것이다. 프리랜서 단기 고용 건수가 계속해서 증가 및 유지된다면, 상시고용과 대비하였을 때 오히려 고용의 빈도수와 지속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며, 기업의 안정적인 사업수행 및 고용상승, 그리고 비대면 고용환경 전환 효과 등 고용 선순환 구조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라도 특정 공간에 모여 작업하는 기존 행태의 리스크를 벗어나 비대면 작업을 통해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최영식 쉬프트정보통신(주) 대표이사·(사)판교1조클럽협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