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3001001213500063821
김민수 지역사회부(가평) 차장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 산하 일부 공공기관 입지 공모 절차가 최근 마무리됐다. 이들 기관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경기도사회서비스원·경기도일자리재단과 신설되는 경기교통공사·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등 5곳이다.

공모대상은 도내 접경지역과 북부 지역, 자연보존권역에 해당하는 17개 시·군이다. 공모 지원 결과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10곳, 경기도일자리재단 9곳, 경기교통공사·경기도시장진흥원 각각 6곳, 경기도사회서비스원 5곳의 시·군이 경쟁하고 있다.

가평군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경기도사회서비스원 2곳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러면서 자연보전권역, 수질보전 특별대책 지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중첩된 규제로 정부와 민간 개발에서 외면받아온 지역의 어려운 상황을 피력했다. 균형발전 대상 지역이란 사실도 상기시켰다.

여기에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신·재생 에너지 주택 100만호 사업 등 에너지 자립 선도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점, 군 인구대비 노인 인구 비율 25.4%, 장애인 비율 8.3%에 이르는 구조적 사회환경에 따른 돌봄 사업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 등을 부각했다. 특히 군은 관내 공공기관의 본원, 지소, 센터 등이 전혀 없는 실정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도전은 녹록해 보이지 않는다. 몇몇 기관이 단계별 심사에서 정량 평가를 1차 심사로 채택하고 있어서다.

그럼에도 가평군은 낭보를 기대하고 있다. 민선 7기 도정 운영철학·가치인 '억강부약(강자를 누르고 약자를 도와줌)'과 공정 등을 토대로 한 정성적 지표가 입지 선정에 기인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억강부약, 특별한 희생 특별한 보상' 등을 추구하고 있는 경기도가 어느 지역의 손을 들어줄지 궁금해진다.

/김민수 지역사회부(가평) 차장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