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의 소각장 절반 이상이 내구연한을 초과하면서 당장 멈출 위기에 처했다. 가뜩이나 소각장도 부족한 마당에 주민 반대로 신규 건립은 물론, 연장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더해 수도권 인구는 지속해서 늘어나면서 쓰레기를 처리할 곳도 마땅치가 않고, 재활용률마저 낮은 편이어서 소각장의 문제는 수도권 쓰레기 대란의 뇌관이 되고 있다.

각 가정에서 버려지는 쓰레기는 바로 처리되지 않는다. 공동주택 등에서 분리수거를 통해 수집된 쓰레기는 페트병, 캔, 폐지, 비닐 등으로 분리돼 다시 재활용된다. 이렇게 제대로 재활용되면 괜찮겠지만, 분리수거 과정에서 세척이 안 됐거나 이물질이 있는 쓰레기들은 어쩔 수 없이 소각장으로 보내지게 된다.

문제는 소각장이 내구연한을 초과해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가 커지는 데 있다. 경기도 내 31개 시·군의 공공 운영 소각장 현황을 파악한 결과, 23개 시·군에서 운영 중인 27개 소각장 중 절반이 넘는 14개 소각장이 환경부가 정한 내구연한 15년을 초과했다. 하루도 쉬지 않고 가동되는 소각장의 특성을 고려해 내구연한을 정했지만 이마저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 지난 1994년 가동한 안양시 내의 소각장은 도내에서 가장 오래됐다. 성남시 상대원동 소각장을 비롯해 용인과 성남, 과천, 광명, 김포 등에 있는 소각장도 모두 20년이 넘었다.

내구연한을 넘겼거나 도래한 소각장 대체 방법은 리모델링을 통한 재사용과 대체 소각장 건립뿐이지만 진행은 지지부진하다. 주민들은 내구연한이 다 된 소각장 폐쇄를 주장하고, 대체 소각장 건설은 입지 예정 주민들의 반발이 뻔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마냥 기다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수도권 쓰레기를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는 사용종료 시점을 둘러싼 경기, 서울시와 인천시의 갈등으로 반입량을 제한하고 있다. 이미 반입총량제를 위반한 도내 지자체들은 내년부터 자체 소각을 늘려야 할 형편이다. 지금도 처리용량 한계치를 소각하면서 소각장의 내구성은 한계상황을 치닫고 있는 형편이다.

경기도와 시·군은 문제를 잠복시킬게 아니라 드러내 놓고 민의를 수렴하는 데서 소각장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잡아내야 한다. 지역주민이 수긍할 만한 소각장 신설 후보지를 최대한 확보하고, 현 소각장 리모델링에 따른 주민지원을 현실화·민주화하면 얼마든지 합의에 이를 수 있다. 다만 시간이 걸리는 만큼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