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87751.jpg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경인일보 DB


방역 강화 영향 '후원·봉사' 줄어
원격수업 탓 식비 증가·학습 결손
운영 악화 불구 현실적 지원 전무


"동네정육점에 어렵게 부탁해 외상으로 고기를 사다 아이들 먹였어요."

보육원, 그룹홈 등 부모 대신 아이들을 보육하는 경기도내 아동양육시설이 코로나19 이후 빈곤의 섬에 고립됐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상향될수록 보건복지부가 지자체를 통해 사회복지시설에 내려보내는 방역지침은 '코호트 격리'에 가깝지만, 이들 시설의 운영악화를 보완할 만한 현실적 지원은 전무하다.

15일 57명 아동을 보살피는 도내 한 양육시설은 기자가 취재차 방문하는 것을 극구 사양했다. 꼭 필요한 일 외엔 외출도, 방문도 최대한 자제하라는 보건복지부 지침에 따라 후원자는 물론 자원봉사자의 방문도 거절하고 있다.

학교가 원격수업으로 대체되면서 아이들의 3끼를 모두 챙겨야 하는 등 기본 운영비는 확 늘어났지만 후원금은 절반 가까이 줄었다. 하지만 경기도 등 지자체나 경기도교육청에선 이들 시설에 손세정제, 마스크 지급 외엔 코로나19와 관련해 별도 지원을 하지 않는다. 2차 긴급재난지원금에도 빠져있다.

시설 관계자는 "운영비가 부족해 인근 정육점에서 3개월 가량 외상으로 고기를 사다 조금씩 먹였다. 그나마 학교급식 대신 (모든 학생에 주는)농산물 꾸러미가 지급돼 숨통이 틔었다"고 토로했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아동양육시설은 총 25곳으로, 1천46명의 보호아동이 이곳에 있다. 그룹홈으로 불리는 공동생활가정도 도내 146곳이 있고 765명의 아동을 보살핀다.

도내 한 그룹홈은 보육사 2명이 교대로 근무하며 7명의 아이들을 돌보고 있다.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등이 골고루 있어 기본적인 가사업무부터 원격수업을 듣는 것과 과제, 학습 과정까지 모두 살펴봐야 한다. 업무가 과중해졌지만 인건비 규정이 없어 빈번해진 추가근무에도 수당도 받을 수 없다.

이 그룹홈 관계자는 "정부는 거의 코호트 격리를 하라고 해 아이들이 외출도 못하는 상황이다. 쉬는 시간도 없이 돌보고 있는데, 보육사들도 체력적 한계에 이르렀다"며 "운영비 한 푼이 아쉬운 상황인데 1차 긴급재난지원금 때 부모가 있는 아이들의 경우 중간에서 부모가 가로채 간 경우가 많아 실질적 도움이 못됐다"고 토로했다.

특히 이들 아동의 학습결손이 가장 큰 문제다. 의식주에 쓰는 운영비도 부족하지만, 집단감염이 될까 걱정돼 지침에 따라 엄격하게 운영하다 보니 학원은 꿈도 꾸지 못한다.

이들 시설 관계자는 "학원 등 아이들 학습에 쓸 돈도 없고 외부 출입도 자제해야 해 인문계고 아이들 성적이 정말 뚝 떨어졌다"며 "다른 친구들은 학원에서 공부하는데, 왜 나는 갈 수 없느냐며 억울해 한다. 고3의 경우 불안해하는 아이들이 많다"고 토로했다.

/공지영·손성배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