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1201000357900018391
김민재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모든 시민들이 참여하는 운동을 '범시민 운동'이라고 한다. 모두를 아우른다는 의미의 접두사 '범(汎)'을 붙여 일반적인 시민운동보다 그 참여의 범위가 넓다는 것을 강조한다.

인천에서는 과거부터 특정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범시민 운동이 몇 차례 있었다. 굴업도 핵폐기장 문제와 관련한 범시민 반대운동이 있었고, 해경 부활과 인천 환원을 위한 범시민 운동이 있었다. 반면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인천 범시민운동'을 검색해보면 이런 것도 범시민운동으로 했나 싶을 정도로 특정 지역의 이익을 위한 현안이나 공감대를 얻기 어려운 갈등문제가 많았다. 관(官)에서 주도하고, 민(民)이 맞장구를 쳐주는 경우도 있었다.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위해 폐기물 감량과 분리배출 활성화 등을 위한 '자원순환 범시민운동'을 이달부터 본격 추진한다. 과거 계몽운동을 연상하는 이 범시민운동은 2020년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진짜 '범시민적' 현안이다.

인천에 해양경찰청이 있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있어도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 사람은 한 명도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의 다른 범시민운동의 성과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나 특정 공공기관이나 철도 노선의 인천 유치, 법령 개정, 혐오시설 설치 반대를 위한 시민운동 등은 '범시민'이라는 표현을 가져다 쓰기엔 뭔가 부족했다. 요구가 관철되더라도 모든 시민들이 수혜를 보는 것이 아니고, 또 이해에 따라 누군가에겐 공감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

쓰레기 줄이기는 아무리 정책이 훌륭하더라도 시민들의 도움 없이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페트병의 비닐 라벨을 떼어내는 것부터 플라스틱 용기를 씻어서 버리는 것은 정말 사소한 일이지만, 인천시민 300만명이 한 번씩만 실천한다면 300만개의 쓰레기가 올바르게 처리될 수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10월을 '시민의 달'로 선포하고, 시민들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손뼉은 마주 쳐야 소리가 난다.

/김민재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