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오늘 선영에 안장된다. 지난 25일 아침 이 회장이 타계하자 그의 업적을 기리는 보도가 넘쳐나는 가운데 일각에선 그의 과오를 아쉬워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서 있는 자리에 따라 풍경이 달라지듯, 고인에 대한 기억이 교차하는 건 당연하다. 삼성과 유족이 가족장을 치른 이유일 것이다. 하지만 대중의 추모 분위기는 국민적이었다.
가장 인상적인 건 한국 대표 기업 삼성에 대한 국민적 자부심 표출이다. 온라인 매체에는 아버지 이병철에게 물려받은 1조짜리 삼성을 400조짜리 글로벌 삼성으로 키운 이 회장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는 여론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공(功)과 함께 과(過)를 언급했다가 '무례하다'는 네티즌의 항의에 시달렸고 급기야 청와대엔 삼성 상속세 10조원 면제 청원이 올랐을 정도다.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는 프랑크푸르트 혁신 선언과 '애니콜 화형식' 등 이 회장이 남긴 어록과 행적들이 '혁신의 언행'으로 각광받고, 절판된 그의 수필집은 중고시장에서 고가에 거래된다고 한다. 뉴욕타임즈는 한국식 재벌경영의 한계를 지적하면서도 "삼성의 큰 사상가"라 기렸고, 국제올림픽위원회는 조기를 게양했다.
대학가의 추모 열기는 뜻밖이다. 서울대와 고려대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와 '고파스'엔 이 회장을 '현대판 이순신'이라며 위인의 반열에 올리자거나 국민장을 해주자는 등 예상 밖의 글이 올라왔다고 한다. 비록 일각의 주장일테지만 편법상속·비자금 조성과 관련한 법적 심판 등 삼성의 부정적 이미지에 익숙한 세대에게도 이 회장의 성취가 비범했던 모양이다. '이건희의 족적'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다.
이 회장의 타계로 한국 경제를 창업하고 수성한 재벌 1, 2세대의 시대가 저물었다. 빛이 강렬했던 만큼 그림자도 짙었지만, 그래도 "해보기나 했어"라는 정주영식 1세대 도전과 "다 바꾸라"는 이건희식 2세대 혁신이 오늘의 한국경제를 만들어냈다. 개천에서 흔하게 용이 났던 덕분이다. 이 회장 장례기간 많은 국민들이 누구나 용이 될 수 있었던 '등용문 시대'의 기억을 공유했다. 이 기억으로 가재·붕어·개구리에 머물 뻔한 많은 청년들이 용이 되기를 바란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명복을 빈다.
/윤인수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