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가 6일 초등보육전담사 파업을 예고하자 경기도교육청이 각 학교에 파업 대응 준비 지침을 전달했다.

학비연대는 5일 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돌봄교실을 지자체로 이관하는 것은 돌봄 민영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동시에 8시간 전일제를 요구했다.

이들은 "코로나 사각지대에 놓인 돌봄교실을 지자체로 이관해 불안정하게 만들려는 교육부와 교육감, 국회의원들에 맞서 교육부의 민영화 추진이 중단되지 않는다면 2차, 3차 파업도 불사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학비연대는 6일 도내 620개교 1천200여명의 초등보육전담사들이 파업하겠다고 예정했다.

이에 4일 도교육청은 학생과 학부모들이 겪을 돌봄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급 학교에 파업 미참여 전담사의 돌봄교실 통합운영과 학교 관리자의 자발적 참여, 마을 돌봄기관 활용, 가족돌봄휴가를 통한 자녀돌봄 등 학교가 상황에 맞게 대책을 마련하라고 안내했다.

김경관 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과장은 "앞으로 파업 당일까지 학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련 부서와 협력해 학생·학부모가 안전하고 촘촘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