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꽂이 번식 나무 옹진군 검사 의뢰
DNA지문 100% 일치 후계목 확인
나무가 말라 죽어 지난해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된 인천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와 유전자가 완전히 일치하는 후계목이 발견됐다.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 무궁화연구팀은 인천 옹진군이 검사를 의뢰한 무궁화 가운데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와 DNA지문이 100% 일치하는 후계목이 나왔다고 18일 밝혔다.
연화리 무궁화는 1930년 백령도 중화동 교회 건립 때 심어졌으며 추정 수령이 100년 가량으로 높이가 6m나 돼 2011년 천연기념물 521호로 지정됐다. 하지만 2012년 태풍 볼라벤과 2018년 태풍 솔릭 피해로 점점 약해지더니 결국 2018년 고사했다. 지금은 문화재청이 나무를 수거해 보존 처리 중이다.
옹진군이 의뢰한 나무는 고사한 연화리 무궁화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 전 백령도의 한 주민이 가지를 꺾어 땅에 심는 '꺾꽂이'로 번식한 무궁화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이와 별개로 2010년 연화리 무궁화를 복제 증식한 클론을 보존하고 있었는데 두 나무의 DNA가 완벽히 일치한 것이다. 연구팀은 친자(親子) 검정이나 범죄 수사 등에 흔히 사용하는 방식인 세포 DNA의 염기 서열의 유전적 동질성 확인(STR 분석법)을 통해 후계목을 찾아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그동안 천연기념물의 후계목을 찾기 위해 전국의 무궁화 노령목 19개체의 DNA 지문을 분석했으나 DNA의 지문이 서로 달라 후계목을 찾는 데는 실패했다. 또 연화리 무궁화 인근에서 자연적으로 자란 무궁화 2그루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실시했으나 아쉽게도 모두 후손은 아니었다.
연구팀은 이번 후계목 발견이 천연기념물 무궁화의 보존, 번식은 물론 학술적으로도 매우 귀중하다고 밝혔다. 보통 수령이 40~50년인 무궁화가 서해 최북단 섬지역에서 100년 넘게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를 밝혀내고 우리 무궁화 재래종 생물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후계목이 100년 이상 살아 과거 연화리 무궁화처럼 크게 자랄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얼마 남지 않은 재래종 무궁화 자원을 보존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우리 무궁화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위상을 높이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