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201000840900043201
공지영 사회부 차장
나는 김칫국을 잘 먹지 못한다. 김치볶음밥, 김치찌개같이 김치가 들어간 대부분의 음식을 사랑하지만 유독 김칫국만은 손이 가지 않는다.

이렇게 된 건 김칫국을 처음 접했던 고등학교 3학년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날은 더운 여름날이었고 점심 급식 에 생소한 국이 눈에 띄었다. 조각난 김치와 콩나물이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찌개라고 하기엔 너무 묽고 콩나물국이라기엔 약간 붉었다. 김칫국이었는데, 한 숟갈 뜨자마자 도로 뱉어버렸다. 단단히 상한 듯한 비릿한 맛과 향이 입안에 맴돌았다. 함께 식사하던 친구들 모두 그날 김칫국을 먹지 못했다.

생각해보면 내가 다녔던 고등학교 급식은 맛 없고 부실하기로 유명했다. 한번은 급식에 나온 도토리묵을 먹고 수십 명의 친구 혓바닥이 파래져 양호실이 북새통을 이룬 적도 있다. 어떤 친구는 학교 급식이 부실한 원인을 두고 갖가지 의혹을 제기하며 각 반에 투서를 돌렸다 징계를 받기도 했다. 김칫국 이후 나를 포함해 우리 반 상당수는 도시락으로 급식을 대체했다.

최근 성남의 한 놀이학교에서 원아들에게 부실한 급식을 제공해 유치원 급식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엄마에게 보낸 급식 사진은 풍성한 반찬이 가득했는데 실제 급식은 새 모이만큼 적어서 아이들은 늘 배가 고팠다. 안산 유치원 식중독 사태 이후 지금까지 줄기차게 유치원 급식 문제를 지적했다. 쉽게 달라지지 않는 것이 지치지만, 가장 기자를 지치게 하는 건 교육부, 교육청이 갖는 유치원에 대한 맹신이다. 학교급식법 안에 숨은 '예외조항'을 통해 상당수 유치원이 법망을 피해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교육기관' '교육자의 양심'에 따라 각자 상황에 맞춰 법을 따라 줄 것이라며 유치원에 변화를 요구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15년도 더 된 그 날의 김칫국 탓에 지금도 김칫국은 손도 대지 않는 습관을 아이들에게 물려줄 순 없다. 먹는 일은 '본능'인데, 그것조차 안심할 수 없다면 무슨 낯으로 아이를 볼 것인가.

/공지영 사회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