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료 대비 지역별 묶어 처리 계획
양평·용인 등 매립량 60% ↓ 불구
"타 시군서 반입 어려워" 공통의견
소각시설 확충도 '주민 반발' 직면


2025년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종료와 맞물린 인천시의 '쓰레기 독립' 선언 이후 인천은 물론 경기도도 내부 갈등 조짐을 보이며 술렁이고 있다.

지난 12일 인천시가 자체 매립지 후보지를 영흥면 외리 일대로 결정하는 한편 중구, 남동구, 강화군 등에 소각장을 신설키로 하자 영흥도 주민들은 물론 소각장 건립 예비후보지에서도 반발이 일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수도권매립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바탕으로 합의하고 있다"는 경기도도 매립지 종료에 대비해 대안을 모색 중이지만 도내 시·군들과의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도는 자체 매립지가 있는 시·군 중 매립량이 60% 이하인 남양주·양평·용인·안성·파주 매립시설을 다른 시·군이 함께 쓸 수 있게끔 해당 시·군과 협의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테면 동부권 시·군은 남양주, 서부권은 양평, 남부권은 용인·안성, 북부권은 파주 시설을 사용케 하는 등의 구상이다.

이들 지역에선 공통적으로 "아직 도와 아무것도 협의하지 않았다"면서도 대체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자체 매립시설에 많은 비용을 들인데다 조성·운영 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을 샀는데 다른 시·군 쓰레기까지 반입하는 일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한 기초단체 관계자는 "매립시설이 있긴 한데 시설이 있는 지역 주민들이 입는 피해가 크다보니, 지금은 관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거의 다 소각해 다른 지역 소각장으로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시 관계자도 "우리 시 매립시설에는 소각재만 묻고 있다. 애초에 매립시설을 만들 때 옆에 있는 시에서 소각하고 우리 시 매립시설에 그 소각재만 묻는 방식으로 규정했다"며 "규정 전반을 바꿔야하는 데다 주민들 동의도 구해야 하는 만큼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기초단체에서도 "우리 지역 쓰레기만 해도 처리하기가 힘들다. 지역의 미래를 위해 많은 비용을 들여서 만든 것인데, 결과적으로 다른 지역 좋은 일이 된다면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염려했다.

매립시설 권역별 사용 추진이 가시화될 경우 진통이 예상되는 가운데, 시·군마다 소각시설 신·증설도 주민 반발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경기도 역시 행정사무감사 등에서 "(매립시설 권역별 사용은) 각 시·군으로서는 매우 예민하고 복잡한 문제다. 계획은 갖고 있지만 구체적인 협의는 하지 않았다"며 "민간처리시설과 공동 이용 협약을 통해 비상 시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끔 체계를 확립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729192.jpg
17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와 서구의회 등에 따르면 서구의회는 최근 수도권매립지주민지원협의체 위원 선출 절차를 개정해 수도권매립지 영향 지역 내 동·읍 행정복지센터 등에 전달했다. 사진은 수도권매립지 3-1공구. 2020.3.11 /조재현기자jhc@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