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또는 향후 부족" 61.3% 응답
비싼 분양가 부담 확장계획 '주춤'
선호지역 남동구>연수구>서구順

인천 기업 상당수가 산업용지 부족 및 비싼 분양가·임대료,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영난 등으로 공장 확장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의 제조 혁신 또는 업종 전환을 위해선 산업용지 공급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천상공회의소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4일까지 인천 기업 189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1.3%가 '현재 산업용지가 부족하며 향후 부족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또 응답기업의 48.6%는 산업용지로의 확장 계획이 없거나 현 위치에서 공장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산업용지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데다 비싼 분양가·임대료를 부담하기 어렵다 보니, 기업들이 공장 확장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기업들이 선호하는 산업용지 형태 조사에선, 산업단지가 48.6%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일반공업용지(18.8%), 지식산업센터(16.7%), 기타 주거·상업지역(8.8%), 항만 배후단지(7.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산업단지는 부지를 매입해 공장을 지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적 사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산업단지 입주시 주요 고려 사항은 땅값(36.1%), 인력 수급 환경(19.1%), 입주 허용 업종(18.5%) 등이었다. 지식산업센터를 선호하는 기업도 적지 않았는데, 높은 분양가(31.1%)와 업종 제한(21.8%)이 애로 사항으로 꼽혔다.

기업들이 공장 부지로 가장 선호하는 곳은 남동국가산업단지가 있는 남동구(78.3점)였다.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가 있는 연수구(63.9점)와 서구(45.3점)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인천상의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기업들은 분양가가 비싸지 않으면서 인력 확보와 물류비 절감이 가능한 산업단지·지식산업센터를 원하고 있다. 특히 지식산업센터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자금 및 세제 혜택'과 '분양가·임대료 인하' 정책이 필요하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제조 혁신과 업종 전환을 통해 경기 침체를 탈출하려는 기업들의 고민이 계속되고 있다"며 "정부는 코로나19 긴급 지원을 통해 기업의 부담과 고통을 덜어주는 동시에 코로나19 사태 이후에 대비해 기업 수요를 고려한 산업용지 공급 등의 정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