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다비'는 지난해 11월부터 인천시교육청이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해 제공하는 민원 안내 '챗봇'(채팅로봇)이다. 방식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지역 공공기관도 챗봇을 도입해 운영하는 곳이 더러 있는데, 응다비도 그중 하나다. 코로나19로 비대면 민원안내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구축했다는 것이 시교육청의 설명이다.
최근 인공지능(AI) 챗봇인 '이루다'가 혐오발언, 개인정보 유출 등에 대한 논란이 일자 운영을 중단한 일이 있었다. 난 사실 '이루다'의 존재보다 논란을 먼저 접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지역에서 운영하는 챗봇은 어떤 수준인지, 문제는 없는지 살펴봤다. 이루다와 비슷한 문제라도 발견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스러운 마음과 함께.
휴대전화 바탕화면의 노란색 메신저를 클릭해 인천시교육청을 검색, 응다비를 찾았다. 응다비에게 "안녕"하는 인사부터 건넸다. "반가워요. 저는 인천광역시교육청 챗봇 '응다비'에요"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신기한 마음에 두 번째 질문을 건넸다. 인천 혁신교육을 상징하는 "행복배움학교에 대해 알려 줘"라고 채팅창에 썼다. 흠. 이때부터는 실망의 연속이었다. 응다비는 "제가 이해하기 어렵다"며 "현재 학습 중입니다. 간단한 단어로 다시 문의해 주시거나 전화로 문의하실 수도 있습니다"라고 답했다. 실망스런 마음에 다시 질문을 던졌다. "인천광역시교육감이 누구지?"라고 물었다. 역시 이해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시교육청이 주력하는 '동아시아교육과정'에 관해 물어도, 지역 학교명 등을 입력해도 대답은 '어렵다'였다. 반면 '학교설립', '검정고시', '졸업증명서' 등의 키워드에는 성실히 답했다.
교육청 얘기를 들어봤다. 응다비 구축에 들인 비용은 550만원이 전부인데 인공지능이나 '딥러닝' 등과는 거리가 있다는 수준이라는 것. 시교육청 각 부서에서 제출받은 140개 키워드를 벗어나는 질문은 답변이 힘들단다. 혐오, 차별, 개인정보 유출 등의 걱정은 정말 '기우'에 불과했다. 차라리 잘됐다. 조급해하지 말고 응다비가 인천 교육에 대해 차근차근 배우고 익혔으면 좋겠다.
/김성호 인천본사 사회부 차장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