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으로 악기의 종과 달리 사찰에서 종을 치는 것은 종을 쳐서 종소리를 내는 것이다. 그런데 종소리는 새날이 밝아옴을 일깨워 경종(警鐘)의 의미이다.
불가에서는 범종을 만들어 사찰에 달아놓고 중생이 잠에 드는 밤 10시면 하늘의 별 28수를 상징하여 편히 잘 자라고 28번을 치고, 새벽 4시면 인생어인(人生於寅)으로 그날의 활동을 시작하라는 의미에서 종을 33번 울린다. 33번을 치는 것은 불가에서 말하는 삼십삼천 세계에 이 종소리가 널리 울려 퍼지기를 기원하는 의미이다. 삼십삼천이란 사방에 각각 여덟의 하늘을 합한 32의 하늘의 가운데에 있는 하나의 하늘을 더해 33의 하늘로 이루어져 있는 곳을 말하는 것이고 제석천(帝釋天)이라는 신이 이곳을 다스린다.
지금도 새해 첫날이 밝는 자시(子時) 정각에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재야의 종 33번을 쳐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한다.
종로의 종(鍾)은 '모일 종'하여 사방 (네거리)의 기운이 모인다는 뜻(모여야 힘차게 종소리가 퍼져 나옴)도 있고 '쇠북 종'하면 종소리가 네거리를 통해 사방으로 울려 퍼지는 뜻도 있다.
사찰에서는 모든 중생의 고통을 구제하길 바라는 마음을 더해 그 의미를 해석한다. 대표적으로 범종은 본래 대중을 모으고 때를 알리기 위하여 쳤으나 점차 조석예불이나 의식을 치를 때 치게 되었다. 산사에서 들리는 종소리는 중생의 영혼을 일깨우는 의미가 중하다고 할 수 있다. 힘들고 지칠 때 청량한 울림과 공명해보면 어떨까.
/철산(哲山) 최정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