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작년 8월에 설치 약속했지만
피해 유아, 관찰 방식·치료경과 달라
보건소 "7월은 돼야 윤곽 잡힐 듯"
지난해 6월 안산 A유치원에서 발생한 장출혈성대장균(O157) 집단감염 사태 이후 정부가 발표한 용혈성요독증후군(HUS·이하 요독증후군) 장기추적관찰시스템(이하 시스템)의 통합 구축이 늦어지고 있다.
피해 유아마다 치료경과는 물론 주치의들이 제시한 추적관찰 방식도 다르기 때문인데, 시스템 구축을 맡은 안산 상록수보건소(이하 보건소)는 오는 7월은 돼야 시스템 윤곽이 잡힐 것으로 내다봤다.
27일 보건소 등에 따르면 A유치원 식중독 사고로 모두 71명(원아 69명·가족 1명·종사자 1명)이 장출혈성대장균(O157)에 감염됐다. 36명이 입원치료를 받았고, 이중 17명이 요독증후군 진단을 받아 여전히 외래 진료를 받고 있다.
보건소는 감염사태 3개월 시점인 지난해 10월 1차 요독증후군 진단 유아 상황을 점검했고 외래 진료가 끝나가는 오는 2월 2차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당초 구축하기로 했던 요독증후군 추적관찰시스템은 당분간 구축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요독증후군은 단백뇨, 고혈압, 신장기능 저하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장기간 추적관찰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고 이에 정부도 지난해 8월 시스템 구축을 약속했지만 현재 환자마다 회복 수준이 달라 보건당국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보건소 관계자는 "아이들의 각 주치의 선생님들이 생각하는 추적관찰 방식이 아직 다 나오지 않았고, 2~3개월에 한 번씩 외래 진료를 받는 유아 중 코로나19 등으로 진료가 늦어진 경우도 있다"면서 "지난 10월 1차 점검 당시 2명가량은 시스템 참여를 거부하기도 해 2차 점검 이후 추적관찰 대상자도 명확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장기추적시스템을 구성하면 안산 유치원 피해아동들은 안산 상록수보건소가 맡을 예정이다.
질병관리청도 "안산 시스템을 진행해보고 그 경험으로 전국적인 감시체계 확대를 결정할 수 있다"며 "전문가 풀 구성 등 기술적인 부분에서 시스템 구축을 돕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지영·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