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8일 '2021년 학사 및 교육과정 운영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발표 내용을 보면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까지 밀집도(전교생 중 등교 가능한 인원)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의 경우, 2단계까지는 밀집도에 상관없이 매일 등교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난해 4월 중순까지 연기됐던 개학도 올해에는 3월에 시작한다. 지난해 2주 연기됐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1월 3주 목요일인 11월18일에 예정대로 치른다는 방침이다. '학교의 일상을 회복하겠다'는 교육부의 의지가 확연히 드러나는 학사운영계획이다.

특히 신학기 유치원생, 초등학교 저학년의 매일 등교 가능성을 열어둔 것은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대면 수업의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지난해보다는 훨씬 나은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코로나로 인해 확대된 돌봄에 대한 사회적 수요에도 어느 정도 부응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의 경우 전국의 학교가 등교를 중단한 시기에 인천 미추홀구에서 초등학생 형제가 참변을 당하는 등 돌봄의 사각지대가 여실히 드러난 바 있다.

이처럼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오가면서 돌봄 공백을 비롯해 교육 효과 저하 및 학력 격차 확대 등 각종 부작용으로 홍역을 치렀던 지난해를 돌이켜 볼 때, 교육부의 이번 발표는 원칙적으로 반가운 소식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아직 백신 접종이나 치료제 사용이 전면적으로 시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놓은 학사운영 계획인 만큼 우려를 떨칠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10세 미만의 코로나19 발병률이 낮다고는 하나 변이 바이러스에 이어 반려동물의 코로나 감염 등 불길한 뉴스가 잇따르는 터라 신학기를 앞둔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교육부도 이런 점을 의식, 등교 확대를 지원하기 위한 방역·생활지도 인력 5만명을 교육현장에 투입하기로 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으나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건강이다.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위험요소가 발견된다면 학사일정에 차질을 빚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번에 발표된 등교확대 방안이 보건 안전 보다 우선할 수는 없다. 교육 당국은 올해 학사 및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이 원칙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