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육지와 백령도를 잇는 뱃길이 자주 끊기면서 섬 주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2달 동안에 24일간 여객선 운항이 결항했다. 2~3일에 1번꼴로 뱃길이 끊긴 셈이다. 대형 여객선은 웬만한 바람이나 안개도 상관없지만, 현재 운행 중인 여객선 하모니플라워(2천71t)는 바람이 조금만 세게 불거나 안개가 발생하면 운항할 수 없다. 그나마 선령 규제로 오는 2023년 5월이면 운항이 종료된다. 2년 뒤 신규 여객선 운항이 이뤄질지도 의문이다. 옹진군이 대형 여객선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운항 적자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업체들이 대형 여객선 사업 참여를 꺼리고 있다. 옹진군이 10년 동안 선박 건조 비용의 25%를 지원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지만 호응하는 사업자가 없다.

인천시와 백령도 주민들은 10여년 전부터 공항 건설을 희망해왔다. 가덕도 신공항 추진과 울릉공항의 착공 등 전국적으로 지방공항 사업 붐이 일면서 백령공항에 거는 기대감이 컸다. 지난해 12월30일 기획재정부의 제4차 국가재정평가위원회 심의에서 백령공항 건설 사업이 부결됐다. 500억원 이상의 대형 국책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이 되려면 재정평가위 심의를 통과해야 한다. 백령공항은 재정평가위의 문턱조차 넘어보지 못하고 공항 건설 사업을 포기해야 할 처지다.

인천시와 섬 주민들은 백령공항 건설이 무산되자 충격에 빠졌다. 백령공항 예상 사업비는 1천208억원이다. 부산 가덕도신공항 건설 예상 사업비 10조7천500억원에 비하면 1.1%에 불과하다. 10조원대 신공항사업을 추진하면서 1%밖에 안 되는 1천억원대 백령공항 사업을 부결한 데 대해 섬 주민들은 허탈해 하고 있다.

서해5도의 상징성과 전략적 중요성, 섬 주민들의 현실적인 고립상황과 소외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공항 건설이 시급하다. 경제성이 낮더라도 국익과 공익을 위해 정부가 감수하는 것이 국책사업이다. 백령공항은 공익을 우선해야 할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 백령공항은 군사·외교적 전략적 가치를 높이는 국익뿐 아니라, 접경도서 국민들의 응급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공익이 크다. 서해 최북단 섬지역의 특성상 경제적 논리보다는 국토균형발전 논리가 적용돼야 한다. 천혜의 자연풍광, 국가지질공원 인증, 코로나19로 인한 여행트렌드 변화 등 지리적·환경적 측면의 경제성은 차고 넘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