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주 이내 급성, 단기간 치료로도 호전
장기간 지속땐 정확한 원인 진단 필요

겨울철에는 날씨가 춥고 건조한 만큼 기침하는 사람도 늘었다. '그럼 기침하는 사람은 다 전염되는 질환을 가진 사람들일까'.
기침 자체는 해가 되는 것이 아니다. 기침은 우리 몸의 방어기전이다. 해로운 물질이 기도로 들어오는 걸 방어하고 들어온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기침이 오래되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원인 진단과 치료를 해야 한다.
3주 이내의 급성 기침은 대부분 감기, 급성 세균성 기관지염 등의 상기도 감염이 대부분이다. 치료하지 않아도 좋아지거나 발열, 객담 등 다른 증상이 동반돼 병원을 찾게 되면 단기간의 치료로도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8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은 만성기침이라 부른다. 보통 기침이 지속되면 폐암, 폐렴, 결핵 등을 걱정하지만 이보다는 주로 천식, 위 식도 역류 질환, 상기도 기침 증후군(후비루증후군), 만성 기관지염에 의해 기침하는 경우가 더 많다.
'만성기관지염'은 흡연자 기침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천식'은 만성적인 기도 과민성으로 인한 기침으로 기침, 호흡곤란, 천명음이 대표적이지만 기침만 발현되는 경우도 많다. 폐 기능 검사, 기관지 천식 유발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또 '위 식도 역류질환'은 위산의 역류로 목 안쪽, 인후, 성대를 지속적으로 자극해 유발할 수 있다. 위내시경을 통해 진단할 수 있지만 위내시경 상 뚜렷한 병변 없이 증상만 나타날 수도 있다.
'상기도 기침 증후군'은 과거 후비루증후군이라 했던 질환으로 비염, 만성 부비동염 등 콧물이 후비(뒷콧구멍)를 통해 기침 수용체를 자극하면서 기침을 유발한다.
이 외에 흡연도 만성 기침의 원인으로 나타나며 약제(혈압약), 심장질환, 기타 호흡기질환(결핵, 폐암, 폐 질환)도 원인이 된다. 이유 없이 기침하는 특발성 기침도 있어 진통제나 항우울제 치료를 하기도 한다.
정확한 원인을 찾고 적절한 치료를 진행해 작은 기침 소리에도 민감해지는 요즘 기침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길 바란다.
/박희진 화홍병원 호흡기내과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