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청으로 '행정업무' 이관 계획
전국 첫 '고등·특수' 사무도 옮겨
내달 1일 단행… 실험효과 '주목'


오는 3월 학교 중심의 조직개편을 예고한 경기도교육청이 구체적인 개편 내용을 밝혔다. 도교육청은 미래교육 정책 제시, 교육지원청은 실질적인 교육행정 집행, 각급 학교는 교육 중심의 학교자치 실현에 집중하겠다는 게 주요 골자인데, 새롭게 시도되는 교육실험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5일 도교육청은 다음 달 1일 도내 25개 교육지원청 조직개편을 단행한다고 밝혔다. 학교 맞춤형 현장지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지원청에 역할 확대를 요구한 것이다.

전국 시·도교육청 가운데 최초로 고등학교와 특수학교 사무를 교육지원청에 이관한다. 이에 따라 고·특수학교의 교원 및 6급 이하 인사부터 학교설립 및 시설 점검, 회계, 급여 등 기본적인 행정사무가 이관된다.

또 특성화고와 혁신·공감학교, 학교운동부 등 경기도만의 정책적 특성이 강한 업무도 옮겨지는데, 도교육청 관계자는 "정책 개발 및 방향성 제시 등은 도교육청 미래교육국 등에 이관돼 미래교육적 측면에서 계속 개발해나갈 것"이라며 "현재 도교육청에서 하는 행정업무가 교육지원청으로 이관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학교감사와 직장내 괴롭힘, 교권침해 등의 업무도 교육지원청에 이관된다.

더불어 각급 학교에서 담당하는 공통행정업무도 교육지원청이 담당한다. 교원 정기승급 및 호봉획정·정정과 기간제 교원 채용 및 인력풀 운영, 방과후학교 위탁계약, 교육공무직 급여지급, 공기질 등 관리지원 등 학교가 떠안았던 행정업무들이 주요 대상이다.

이는 지난해 10월 도내 전체 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벌인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7천300여명이 이관을 요구한 업무다.

원활한 학교 지원을 위해 모든 교육지원청에 공통학교행정지원과와 대외협력과, 감사담당관을 신설할 예정이다. 또 학생 수 10만명 이상인 수원, 남양주 등 6곳의 교육지원청에는 미래국을 신설해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지역교육플랫폼 구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조정수 행정관리담당관은 "교육지원청 업무 증가를 위해 본청 직원 112명을 감축하고 교육지원청 정원을 401명으로 증원해 추가 인력을 배치했다"며 "학교 현장에서 우려하는 학교 인력 감축은 없다"고 말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