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평균 19㎍/㎥… 정부기준 '보통'
서울·경기도 21㎍/㎥ 보다 낮아
'제2차 계절관리제' 등 정책 효과
국외 요인 대책 마련 지적은 여전
인천 지역의 지난해 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최근 5년 사이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정부와 인천시 차원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 강화로 인해 장기적으로 국내 발생 요인은 점점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발 미세먼지 등 국외 요인을 잡기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환경부 확정 발표 자료를 보면 인천시의 지난해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19㎍/㎥로 정부 기준 '보통'(16~35㎍/㎥)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서울시와 경기도 평균 농도는 각각 21㎍/㎥로 인천보다 높았다. 인천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016년 26㎍/㎥, 2017년 25㎍/㎥, 2018년 22㎍/㎥, 2019년 23㎍/㎥로 감소 추세다.
정부와 인천시는 초미세먼지가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자 최근 수년 동안 국내적으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강화해왔다.
인천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제2차 계절관리제'를 시행해 영흥화력발전소 최대 출력을 80%로 제한하고, 인천항과 가까운 팔미도 해역을 선박 저속 운항 구역으로 설정했다. 정부와 시는 계절관리제 기간 주말·휴일을 제외하고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을 금지했다.
인천시는 지역내 발전·정유회사 10곳이 참여한 '블루스카이협의회',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내 미세먼지 관리 강화 등 주요 대기 오염 물질 배출 사업장과 협업하는 감축 노력에서도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다.
시는 올해 도로에서 일어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분진흡입차량을 1대 추가로 도입해 총 10대를 운영하고, 소규모 사업장 대기 오염 물질 방지시설 설치 지원에 258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정부가 장기적으로 2034년까지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를 폐쇄해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으로 전환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하면 인천 내부적인 미세먼지 발생 요인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인천은 중국발 미세먼지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으로 국외 발생 요인에 대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여전히 나온다.
지난 14일 인천 지역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74㎍/㎥로 '나쁨'(36~75㎍/㎥) 수준이었다. 이날은 고농도 초미세먼지로 올해 첫 수도권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됐는데, 환경부는 "10일 밤부터 유입된 국외 미세먼지와 대기 정체로 고농도 상황이 발생했다"고 사실상 중국발 미세먼지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인천시는 2018년 중국 톈진시와 환경 분야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추진하는 등 미세먼지 문제를 직접 다룰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인천대와 톈진대 간 학술 교류로 축소돼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후 국외 발생 요인에 대한 이렇다 할 대책은 없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정부가 한·중·일 대기 환경 공동 연구 등에 참여하고 있지만, 중국의 영향이 공식화하지 않아서 국외 요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