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D클러스터 조성, 첨단산업 메카로 성장
운정신도시, 인구 급증 불러 교통혁명 견인
이제 남은건 '평화경제특구법' 조속 제정뿐
이처럼 파주가 급성장한 데에는 세 번의 계기가 있었다. 첫 번째가 자유로 개통이다. 자유로는 고양 행주외동에서 파주 임진각까지 46.6㎞로 1990년 착공해 1994년 완공됐다. 한강하류인 고양·파주지역의 수해를 예방하기 위해 건설됐다. 자유로 개통으로 서울로 통하는 유일한 도로였던 통일로(국도 1호선)의 상습 정체가 일정 부분 해소되었고 지역 개발이 촉진됐다. 특히 파주시 교하, 탄현지역은 과거 군사적 요충지에서 주거, 관광, 문화예술의 중심지로 탈바꿈 할 수 있었다. 자유로를 따라 교하택지지구와 운정신도시가 조성됐고, 통일동산과 파주출판도시, 헤이리예술마을 등이 들어섰다.
두 번째는 LCD 클러스터 조성이다. 엘지디스플레이가 입주한 월롱산업단지를 비롯해 당동산업단지, 선유산업단지 등 3개 산업단지에 총 2천791㎡ 규모의 첨단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됐다. 군사분계선과 가깝고 군부대가 주둔했던 이곳에 세계적인 대기업이 입주함으로써 파주가 수도권 서북부지역 첨단산업의 메카로 성장할 수 있었다.
세 번째는 운정신도시 조성이다. 2014년 말 준공된 운정1, 2지구는 현재 19만여명의 주민이 입주했으며, 2023년 말 준공예정인 운정3지구를 포함하면 총 1천656만㎡ 규모의 신도시가 완성된다. 예정인구는 23만명으로 파주시 인구의 절반에 가깝다. 운정신도시는 파주의 급격한 인구 증가를 가져와 제2자유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교통혁명도 함께 견인했다.
네 번째 도약의 계기는 무엇일까. 바로 평화경제특구 조성이다. 평화경제특구법안은 17대 국회에 처음 발의돼 20대 국회까지 총 19건이 상정되었으나 남북관계 경색, 여야의 공감대 부족 등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해 임기만료로 폐기됐다. 21대 국회에서도 3건의 법안이 발의돼 정부통합조정안과 병합되어 관계부처 협의를 마친 상태이나 국회 소관 상임위에서 아직 합의·처리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지난 2월2일 접경지역 시장·군수협의회를 대표해 양구군수와 함께 국회를 방문하여 평화경제특구법 제정 촉구 건의문을 전달하기도 했다. 평화경제특구는 정부의 한반도신경제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전략이며 파주의 미래를 책임질 신성장 동력이다. 필자는 시장 취임 후 제1호 결재로 '남북평화협력TF팀'을 구성했다. 그해 10월 평화협력과를 설치했고, 이후 평화기반국으로 확대했다. TF팀의 첫 번째 과제로 '통일(평화)경제특구 지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발주하여 첨단산업 중심의 한반도형 국제협력지대 조성을 골자로 하는 '파주시 평화경제특구 기본구상'을 마련했다. 남북관계 부침과 정세변화에도 불구하고 항구적 평화 유지를 위한 안전판 역할을 하도록 첨단산업·국제평화·친환경생태 클러스터 조성을 담고 있다. 평화경제특구와 개성공단은 분단경제에서 평화경제로 이르는 과정에서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난 2월9일 파주 임진각에서 '개성공단 재개선언 범국민 연대회의'가 출범했다. 경기도와 파주시, 파주시 지역 국회의원, 각급 시민단체와 종교계 인사들이 공동대표로 참여했다. 올 봄에는 평화경제의 상징이자 남북교류협력을 다시 여는 열쇠인 개성공단이 재개되고 평화경제특구법이 조속히 제정되길 바란다.
/최종환 파주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