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랜 가사활동으로 연골 손상
하이힐 탓 젊은층 환자도 증가

특히 퇴행성관절염으로 고통받는 여성들은 짧은 거리도 쉽게 허락되지 않는다. 여성은 나이가 들면 누구나 폐경을 겪고 퇴행성 질환이 가속화된다. 65세 이상 퇴행성관절염 환자 중 80%가 여성일 정도로 남성보다 여성의 발생 빈도가 높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연골판과 뼈를 감싸고 있는 연골이 손상되고 닳아 없어져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주로 무릎, 고관절, 손·발가락에 생기며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하면 관절이 붓고 열이 발생해 관절의 크기가 커져 통증이 생긴다.
특히 무릎 통증이 심해지면 관절 안에 물이 차고, 염증이 더 진행되면 다리가 활처럼 휘어 'O자형 다리'가 돼 다리를 절게 되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퇴행성관절염을 방치하면 무릎관절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극심한 통증이 생기고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여성은 남성보다 다리의 근육량이 적고 관절의 크기도 작다. 또 가로 폭도 좁아 그만큼 하중을 견디는 힘이 약하다.
더불어 중년의 여성들은 오랜 가사활동으로 무릎이 많이 약해져 있다. 무릎을 쪼그린 채 걸레질을 하거나 욕실 청소를 하는 경우 무릎은 평소보다 8배의 하중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연골 손상이 가속화되고 퇴행성 관절염으로 발전, 결국 인공관절수술을 받게 된다.
최근에는 젊은 여성들도 하이힐, 자세 불량,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해 퇴행성 관절염 초기에 해당하는 연골연화증이 나타나고 있다. 또 다이어트를 위해 무리한 운동을 할 경우 무릎관절의 조기 퇴행을 불러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무릎 통증의 초기 단계인 연골 손상의 경우 약물치료가 가능하고, 조기에 치료를 받기 때문에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뼈와 뼈 사이가 완전히 달라붙을 정도로 연골 손상이 심한 말기라면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인공관절수술은 닳아 없어진 무릎 연골 대신 인체에 해가 없는 인공관절을 넣어 통증을 줄여주고 운동 범위를 넓혀주는 수술법으로 수술 후 오랜 통증에서 벗어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생활습관 개선으로 평소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절염을 피하려면 무릎에 무리가 오는 자세나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집안일을 할 때 가능하면 밀대형 걸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설거지할 때도 발아래 작은 상자를 놓고 한쪽 다리씩 번갈아 가면 올려놓으면 한쪽 무릎으로 치우치는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다.
무릎 주변의 허벅지와 장딴지 근육이 튼튼해야 관절이 튼튼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이클이나 수영 등을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박상재 화홍병원 관절센터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