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이 '무석면 학교 실현'을 위해 2016년부터 석면 해체 및 제거를 진행해 온 결과 올해까지 절반의 석면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첫 해인 2016년 574교, 2017년 395교, 2018년 153교, 2019년 299교의 석면을 제거했고 지난해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193교에 제거작업을 완료했다.
이로써 지난해까지 1천614교가 완료됐고 올해 57개교를 마무리하면 도내 학교에 있는 석면 면적 중 절반인 430만㎡가 제거되는 셈이다.
도교육청은 올해 57개 학교 석면 해체·제거를 위해 250억원 예산을 편성했다.
특히 지난해는 코로나19 대응단계에 따라 집합 제한 등 작업을 진행하기에 불안정한 상황이 계속됐지만 ▲학교석면 현장대응 4단계 집중지원, ▲학교 석면해체·제거 대상학교 사전예고제, ▲기술직 분기별 석면 강화교육, ▲석면제거 추진학교 진도관리 모니터링 등을 통해 여름·겨울방학을 활용해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완료했다.
더불어 도교육청은 석면에 대한 불안 해소를 위해 '학교석면 현장대응 4단계 집중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석면 해체·제거를 예정 중인 학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석면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갈등이 발생했을 때 조기에 환경부 석면전문가·기술직 공무원 등 외부 전문가를 투입해 현장을 방문한다. 이는 교육부 지침보다 갈등관리와 소통을 한층 강화한 것이다.
또 5천㎡ 이상의 대규모 현장은 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이 양방향에서 집중 관리키로 하고 해체·제거 안전성 평가에서 하위등급을 받은 경우 집중관리를 받는다.
더불어 환경부 인력풀을 활용해 교수, 협회 등 석면 관련 전문가 9명으로 현장기술단을 운영해 학교 석면모니터단과 1교당 최소 1인 이상 전문가 현장방문 컨설팅을 지원한다.
김이두 시설과장은 "도교육청의 '학교석면 현장대응 4단계 집중지원'을 통해 코로나19 속 어려운 여건과 석면감리인제도 변경에 따른 감리인 수급 부족 상황에도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학교 현장과 소통하며 안전하게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사업 첫 해인 2016년 574교, 2017년 395교, 2018년 153교, 2019년 299교의 석면을 제거했고 지난해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193교에 제거작업을 완료했다.
이로써 지난해까지 1천614교가 완료됐고 올해 57개교를 마무리하면 도내 학교에 있는 석면 면적 중 절반인 430만㎡가 제거되는 셈이다.
도교육청은 올해 57개 학교 석면 해체·제거를 위해 250억원 예산을 편성했다.
특히 지난해는 코로나19 대응단계에 따라 집합 제한 등 작업을 진행하기에 불안정한 상황이 계속됐지만 ▲학교석면 현장대응 4단계 집중지원, ▲학교 석면해체·제거 대상학교 사전예고제, ▲기술직 분기별 석면 강화교육, ▲석면제거 추진학교 진도관리 모니터링 등을 통해 여름·겨울방학을 활용해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완료했다.
더불어 도교육청은 석면에 대한 불안 해소를 위해 '학교석면 현장대응 4단계 집중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석면 해체·제거를 예정 중인 학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석면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갈등이 발생했을 때 조기에 환경부 석면전문가·기술직 공무원 등 외부 전문가를 투입해 현장을 방문한다. 이는 교육부 지침보다 갈등관리와 소통을 한층 강화한 것이다.
또 5천㎡ 이상의 대규모 현장은 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이 양방향에서 집중 관리키로 하고 해체·제거 안전성 평가에서 하위등급을 받은 경우 집중관리를 받는다.
더불어 환경부 인력풀을 활용해 교수, 협회 등 석면 관련 전문가 9명으로 현장기술단을 운영해 학교 석면모니터단과 1교당 최소 1인 이상 전문가 현장방문 컨설팅을 지원한다.
김이두 시설과장은 "도교육청의 '학교석면 현장대응 4단계 집중지원'을 통해 코로나19 속 어려운 여건과 석면감리인제도 변경에 따른 감리인 수급 부족 상황에도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학교 현장과 소통하며 안전하게 석면 해체·제거 작업을 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