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2501000952700045641

'김영준의… 클래식' 연재 종료 아쉬움
아동 문제·코로나 극복기 기획 '눈길'
민선7기 구도심정책 후속기사 다루길


경인일보 1월 지면을 평가하는 인천본사 독자위원회가 열렸다.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신희식((사)아침을여는사람들 이사장) 독자위원장, 양진채(소설가)·이동익(민주노총 인천본부 조직국장)·홍지연(책방 산책 대표) 독자위원이 서면으로 의견을 보내왔다.

이달 독자위원들은 눈길을 끄는 환경 관련 기사가 많았다고 평가했다.

'통큰 기사' <기후 위기 빙산의 일각>(25~26일 1·2·3면), '이슈 앤 스토리' <이슈&스토리, AI 예방적 살처분 논란…언제까지 계속될까>(29일 10면), <'인천 마스코트' 점박이물범, 서산 가로림만 '제집처럼' 출현>(11일 6면) 기사 등이 독자위원의 눈길을 끈 기사들이다.

이달 통큰 기사에 대해 신희식 독자위원장은 "기후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더 심각해진 상황에서 매우 시의적절하고 알찬 내용의 기사였다"고 호평했다.

양진채 독자위원은 "거시적인 기후 위기뿐만 아니라 농·어업이 현재 겪고 있는 문제, 기업의 온실가스배출 노력의 필요성, 앞으로 기후위기가 우리 사회에 초래할 정치적 혼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를 생생하게 다뤘다"고 했다.

양 위원은 "경인일보가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실천 방법을 소개해나가는 캠페인성 기사 꼭지를 만드는 방안도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

홍지연 위원은 "기후위기 대응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주제"라며 "우리의 삶 속에서 변화를 이끌어내려면 경인일보가 자주 짚어줘야 한다"고 했다.

예방적 살처분 관련 기사와 '이슈 앤 스토리'도 독자위원이 눈여겨본 기사 가운데 하나다.

이동익 위원은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방식도 지방자치단체별로 지역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하고 있는데, AI확산 방지를 이유로 전국이 똑같은 방식으로 이뤄지는 살처분은 논란의 여지가 충분하다"면서 "과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이참에 가축 전염병 대응과 관련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기후위기와 육식 등의 문제 해결에 있어 우리 사회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인천의 섬 관련 기사가 많았던 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연평 해역 유도로켓 '오발'…해병대, 유관기관 통보도 '불발'>(7일 1면), <사람 뜸해진 인천 해안가, 쓰레기 산더미처럼 쌓여간다>(22일 4면) 등의 기사다.

신 위원장은 "특히 해안 쓰레기 보도 이후 옹진군이 해양 쓰레기를 체계적으로 처리하겠다는 기사가 이어지기도 했다"면서 "경인일보가 섬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취재와 보도를 이어갔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했다.

2019년 3월8일 첫회를 시작으로 올해 1월29일까지 75차례 게재된 <김영준의 재밌는 클래식>이 끝난 것에 대한 아쉬움과 격려의 말도 있었다.

양진채 위원은 "독자들이 클래식과 더욱 친숙해지길 바라며 기획된 이 코너는, 많은 독자가 클래식을 재미있게 느끼고 클래식과 가깝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며 "연재가 종료돼 아쉽다. 또 다른 기획으로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외에도 지역에서 벌어진 아동 문제와 관련된 꾸준한 보도와 연초 기획한 평범한 이웃의 코로나 극복 도전기 <우리함께 2021> 등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아쉽거나 안타까운 기사도 많았다.

이 위원은 <학교 특수성 고려 안 한 중대재해처벌법>이라는 제목의 13일자 사설이 문제가 있다고 했다. 견강부회에 가까운 교원단체의 의견을 무비판적으로 사설에서 인용했다는 것이다.

이 위원은 "학교장들이 이해관계에 따라 자신들에게 유리한 것에는 '책임자'라고 주장하고 불리한 것은 '중간관리자'라고 주장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중대재해법의 핵심은 일하는 곳이 어디든 노동자들이 목숨을 잃거나 다치지 않게 하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용어 사용이 신중하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위원은 <인천 송도동 중학교 공사현장 낙하물 맞은 노동자 '중상'>(4일 인터넷) 기사에서 "기사 제목은 '노동자'로 표시됐는데, 본문에는 여전히 '근로자'라는 표현이 나와 아쉬웠다"고 지적했다.

또 4일자 '참성단' <유리창 대선정국>에 "여권의 '불임현상'이란 언급이 있었는데, 부적절한 표현이었다"면서 "상황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불임'이라는 비유를 활용한 것으로 보이지만, 불임이나 난임을 겪는 당사자들의 기준에서 더 신중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인천시, 민선 7기 '구도심 정책 성과·추진상황' 시민 공개>(13일 1면) 기사 후속 보도를 찾을 수 없어 아쉽다고 했다.

그는 "인천시가 민선 7기 구도심 정책 성과와 앞으로 추진할 주요 과제를 정리해 빠르면 이달 중 시민들에게 공개하기로 했다는데,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아 보인다. 이에 대한 후속 기사도 찾을 수 없었다"면서 "경인일보가 구체적으로 확인을 해 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리/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