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문명이 구가하는 기술의 기본은 0과 1로 모든 수를 표현하는 이진법인데 우리가 매일 쓰는 컴퓨터의 수학적 구조가 이진법이다. 이진법을 사용하면 논리회로의 조합이 간단하고, 또한 내부에 사용되는 집적회로의 특성상 편리하다고 한다. 0과 1 두 개의 숫자만 사용하여 모든 수를 표현하는 수 체계가 이진법이다.
독일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라이프니츠(1646~1716)가 주역의 음양부호체계에서 영감을 받아 최초로 고안했다고 알려져 있다. 라이프니츠에게 영감을 준 주역책은 중국에 선교사로 간 지인이 보여준 것이다. 부베라는 선교사는 중국에 가서 선교활동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의 역사와 문화와 철학을 열공했는데 그 가운데 주역이 있었다. 그가 보내준 주역의 64괘도표를 보고 라이프니츠는 양과 음의 부호를 1과 0으로 치환하여 숫자로 표기하면서 이진법체계를 완성하였다.
주역의 64괘는 8괘가 중첩되어 구성되니 64괘의 기본은 8괘인 셈이다. 그러고 보면 현대문명의 가장 큰 최초의 공헌은 8괘를 창안한 복희씨한테 돌려야 한다. 복희씨는 8괘의 아이디어를 매일매일 보는 현상에서 착안하였다고 한다. 올려다보면 하늘이고 내려다보니 땅이고 똑바로 보니 인물이다. 하늘은 밤과 낮이 반복될 뿐이고 땅은 육지와 바다일 뿐이고 인물은 남성 아니면 여성이다. 그래서 이 현상적 우주공간을 셋으로 놓고 각각 음과 양이 존재할 뿐이라는 생각을 하였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2×2×2=8이 되어 8괘이다. 이렇게 인류역사상 맨 처음으로 8괘를 창안했다고 하였으니 비트(0, 1)의 최초저작권은 복희씨에게 있는 셈이다.
/철산(哲山) 최정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