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701000751500037691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에게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가 17일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다. 박 전 시장을 고발한 지 252일 만에 언론 앞에 선 것이다. 그녀와 연대했던 여성단체 대표들이 함께한 회견 명칭은 '서울시장 위력 성폭력 사건 피해자와 함께 말하기'다. 피해자의 목소리가 집단적인 2차 가해에 묻혀 온 현실을 반영한 작명이다. 주최 측과 기자단은 피해자의 노출을 철저히 막기 위해 영상촬영과 녹취행위 금지에 합의했다고 한다. 그동안 피해자가 당한 2차 가해가 얼마나 심각했는지 보여준다.

피해자의 처지는 절박했다. "(박 전 시장의) 극단적인 선택으로 인해 가해자와 피해자의 자리가 바뀌었고, 고인을 추모하는 거대한 움직임 속에 설 자리가 없다고 느꼈다.", "이 사건의 피해자는 시작부터 끝까지 저"라는 호소는 간곡했다. 2차 가해를 향한 분노는 컸다. "'사실의 인정'과 멀어지도록 만들었던 피해호소인 명칭과 사건 왜곡, 당헌 개정, 극심한 2차 가해를 묵인하는 상황들. 상식과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 "저는 불쌍하고 가여운 성폭력 피해자가 아닙니다. 저는 잘못된 생각과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용서할 수 있는 존엄한 인간입니다.", '그분의 위력'에서 벗어나려는 용기는 뜨겁다.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원인은 박원순, 오거돈의 성폭력 사건이다. 하지만 정권유지와 정권탈환의 전초전이라는 정략적 프레임이 선거판을 지배한다. 800억원짜리 보궐선거의 원인에 대한 성찰은 없다. 여권은 박원순의 유산에 집착한다. 우상호는 "박원순이 우상호이고 우상호가 박원순"이라고 했다. 김진애는 "박원순의 족적이 눈부시다"고 했다. 박영선은 '피해호소인' 작명자들을 선거 캠프에 모셨다. 검사 진혜원의 조롱은 양반이었다. 야당은 피해자의 일상회복에 관심이 없다. 대여 공세의 도구로 소비할 뿐이다. 피해자의 피해와 여당의 난처한 상황이 유지되길 바랄지도 모른다.

박원순 피해자와 여성단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를 발생 원점으로 되돌려 정치권의 성찰을 요청했다. 이수정 경기대 교수는 "서울시장, 부산시장 사건 이전으로 대한민국은 돌아갈 수 없다"며 선거국면의 2차 가해 중단을 요구했다.

하지만 여당은 외면할테고 야당은 계산된 공감에 그칠 것이다. 피해자와 그를 지지하는 여성단체들에겐 잔인한 정치의 시간이다. 긴 호흡으로 더욱 단단하게 연대하기 바란다.

/윤인수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