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접종에도 지구촌 확진자 급증
강한 전파력 변이 바이러스가 원인
국내도 전국 확산 양상은 마찬가지
장기간 방역에 지쳤나 경각심 느슨
강화된 수칙 결코 간과해선 안된다


사본 -김정순1-1
김정순 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장·언론학 박사
최근 지구촌 곳곳에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브라질과 인도에서는 1일 확진자가 10만명을 돌파했고, 유럽에서도 신규 확진자 급증으로 재봉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백신접종 1억명을 넘긴 미국도 신규 확진자 6만명대를 기록하면서 4차 유행이 시작됐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국내 사정도 비슷하다. 비수도권의 확진자 비중이 40% 안팎까지 높아지며 전국적 확산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코로나19 대국민 담화에서 "4차 유행 갈림길에 서 있다"며 이대로 가면 1일 확진자가 1천명 이상으로 많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 역시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게다가 인천의 한 어린이집 집단감염에 50대 젊은 원장 사망사건을 계기로 인천 엄마들뿐 아니라 전국적인 불안 호소가 많다.

설상가상 변이 바이러스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어 불안은 더 커지고 있다. 백신 확보에 외교적 네트워크를 총동원하라는 요구가 쏟아지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국내의 경우 변이 바이러스는 유럽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아직은 낮은 수준(41건)이지만 감염재생지수가 모든 권역에서 1을 넘었다. 변이 바이러스의 강한 전파력이 연일 보도되고 있어 경각심이 그 어느 때보다 더 높아야 하는 시점임에도 필자 가족을 비롯해 주변에서 감지되는 실상은 그렇지 않아 보인다. 장기간 방역에 지친 탓인지, 경계심도, 긴장감도, 수칙 이행 자세도 느슨해진 것 같아 걱정된다.

실제로 강한 전파력을 가진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유럽의 실상은 최근 국내 언론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를 '완전히 새로운 유행병'으로 정의했을 정도로 코로나19 감염 건의 75%가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다. 약 3%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브라질발 변이 바이러스라고 한다. 변이 바이러스 전파력은 백신 접종이 한창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다.

그러나 그보다 더 큰 문제는 코로나19에 느슨해진 경계심이 아닐까? 긴 병에 효자 없다는 옛말처럼, 1년이 넘는 장기간에 걸친 방역수칙 이행에 지치고 느슨해진 마음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일 수도 있다. 이해가 안 되는 것도 아니다. 백신접종이 시작되면서 안도감으로 코로나19에 대한 경계 심리가 더 약해졌을 것이다. 방역생활에 모두가 지쳐있는데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지 않는 누군가를 탓하려는 게 아니다. 다만 이렇게 느슨해진 틈을 타 K-방역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걷잡을 수 없이 감염이 확산되는, 돌이킬 수 없는 사태가 오기 전에 미리 최선을 다하자는 것이다. 한마디로 지금은 코로나19가 창궐한 초기, 당시의 공포와 경계심보다 더 무장된 자세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은 것이다.

7일 서울과 부산시장 재보선으로 전국이 선거 열풍 한가운데 있지만, 백신 수급 차질에 대한 보도가 넘쳐난다. 다른 나라에 비해 백신 수급 사정이 좋지 않다며 연일 국민적 불안을 부추기는 언론보도가 잦은 데다 대안 제시보다 논란을 부추기는 형국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난 5일 문 대통령의 백신 수급에 대한 설명이다. "상반기 1천200만명 백신 접종, 11월 집단면역 목표달성에 총력을 다하고 1차 접종자 수를 최대한 확대, 그 시기도 앞당길 것"이라며 강화된 방역수칙에 무관용 원칙을 언급했다는 사실이다.

강화된 방역수칙은 모든 다중이용시설 이용자는 전원 입장 기록을 남겨야 하고 특히 유흥시설은 전자 출입명부만 인정한다. 또한 미술관·박물관·도서관·경륜장이나 경마장 등의 장소에서는 음식물 섭취가 금지된다. 지난 5일부터 강화된 수칙을 위반할 시 업주는 300만원, 이용자는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한다. 장기간의 코로나에 경제는 어렵고, 방역에 지치고 힘들지만 4차 대유행 경고를 결코 가볍게 취급해서는 안 된다. 철저한 방역수칙 이행과 감염에 대한 경계심 등 재무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K-방역으로 칭송받던 자긍심을 다시 느껴보고 싶다면 과욕일까.

/김정순 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장·언론학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