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1001000384300018451
박경호 인천본사 정치팀 차장
드라마나 영화에서 인천을 배경으로 한 장면을 종종 접한다. 최근에 열심히 본 SF 드라마도 그렇고 그동안 내가 본 드라마·영화 속 인천 중에는 송도국제도시가 가장 많이 나왔던 것 같다. 인천이 멋지게 나오고자 지자체가 '협찬' 명목으로 제작비 일부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

인천에 사는 나는 드라마를 보다가 "어, 센트럴파크"라며 신기해한다. 그러나 어차피 가끔 지나는 그곳을 드라마 속에서 봤다고 일부러 찾진 않으므로 적어도 나에겐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순 없다. 그 동네에 사는 사람들한테도 신기하고 자랑스러울(?) 수는 있으나 동네 사람들을 위해 촬영지로 유치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 목적은 다른 도시에 사는 외부인의 유입이다.

인천이 드라마·영화 속에 등장하면서 외부인을 인천으로 모으는 데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연구·분석한 자료는 아직 못 봤다. 특정한 장소와 건물이 영상에 등장할 뿐이지 인천이란 도시 자체는 삭제돼 있으니 홍보 효과가 얼마나 클지 개인적으로 의문이긴 하다. 내가 최근 열심히 본 드라마 속 송도국제도시 또한 서울의 어느 곳이었다. 인천이란 도시의 껍데기만 가져다 쓴 거나 다름없었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김중미 작가가 최근 장편소설 '곁에 있다는 것'을 펴내면서 한 언론 인터뷰에서 "가난 상품화 행정에 분노해 썼다"고 말했다. 2015년 인천 동구는 쪽방촌이라 불리는 만석동 괭이부리마을에 게스트하우스와 유사한 '옛 생활 체험관'을 조성하려다 비판 여론에 취소한 적이 있다. 김중미 작가 새 소설의 모티브다. 소설 '곁에 있다는 것'의 배경은 인천의 '은강'이다. 이곳은 바로 한국 문학사상 처음으로 300쇄를 찍은 조세희 작가의 소설집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의 주요 무대인 '기계도시 은강'이다. 기계도시 은강은 인천 만석동이 배경이다.

드라마·영화 속에서 도시의 껍데기만 상품화하기보다는 그 속살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게 외부인들의 도시에 대한 관심을 훨씬 더 불러일으킬 것 같다. 대한민국에서 '은강'은 인천을 빼곤 다른 곳을 떠올릴 수 없다.

/박경호 인천본사 정치팀 차장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