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1901000770500037601
최규원 지역사회부(오산) 차장
4월이 되면 항상 떠오르는 시구(詩句)가 있다.

'4월은 잔인한 달'로 시작하는 T.S 엘리엇의 황무지의 한 구절이다. 문학 소년을 꿈꾸던 학창시절 전문을 외운 적도 있었지만 언제부턴가 '4월은 잔인한 달'이라는 문구만 기억난다.

얼마 전 다시 찾아보니 '죽은 딸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기억과 욕망을 뒤섞고/봄비로 잠든 뿌리를 뒤흔든다/겨울은 따뜻했었다…'로 이어진다. 다시 읽어봐도 생소하다. 그때의 감성이 사라진 탓일까?

그래도 지금껏 4월의 어느 날에 누군가가 '지금 생각나는 것 있어?'라고 물어보면 거의 무의식적으로 이 시구를 말하곤 했던 것 같다.

얼마 전 어느 지인이 같은 질문을 했고, 또 같은 답을 했다. 그러자 그는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고 화답(?)했다. 순간 '뭐지?'하는 생각과 함께 '아차!' 싶은 생각이 들었다. 국민 애송시로 불리는 나태주 시인의 '풀꽃'으로 화답한 거였다. 서로의 처지가 같을 수는 없지만 필자는 '절망'을, 지인은 '희망'을 이야기한 거였다.

간혹 필자에게 자신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지인에게 자주 하는 말 중 하나가 '항상 싸우는 두 마리 늑대가 있다. 한 늑대는 '어둠과 절망'이다. 다른 늑대는 '빛과 희망'이다. 어느 늑대가 이길까?'라는 어느 영화의 대사를 건네며 답은 '네가 먹이를 주는 늑대'라며 위로하고는 했다.

그랬다. 답은 내게 있는 것이고 나는 다른 이들에게는 희망을 이야기했지만, 나 스스로는 희망이라는 답을 잊고 있었던 거였다. 4월이어서 그랬을까? 아닌 것 같다.

필자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제법 많을 것 같다. 나는 아니어도 내가 아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조금이라도 따뜻한 마음을 건네고 싶은 측은지심의 발로였다고 위로하자!

그리고 이제 우리 스스로에게 말하자. 황무지에도 풀꽃은 피어난다. 자세히 보고 오래 보면 예쁘고 사랑스럽다는 걸. 그리고 당신도 그렇다는 걸.

/최규원 지역사회부(오산) 차장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