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 인권 사각지대' 심층 보도 돋보여
'패딩 벗어준 부부를 찾습니다' 미담 눈길
'학생감소 제물포고' 주민입장 적어 아쉬움
경인일보 3월 지면을 평가하는 인천본사 독자위원회가 지난 9일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진행됐다. 신희식((사)아침을여는사람들 이사장) 독자위원장, 양진채(소설가)·이동익(민주노총 인천본부 조직국장)·홍지연(책방 산책 대표) 독자위원이 참석했고 목동훈 부장이 참석해 독자위원의 의견을 들었다.
이달 독자위원들은 경인일보의 개성공단 폐쇄 5년을 다룬 기획기사가 눈길을 끌었다고 평가했다. 반면 제물포고 이전과 관련해서는 주민들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희식 독자위원장은 이달의 기획기사 <통 큰 기사/개성공단 폐쇄 5년 멈춰버린 평화시계>(22·23일 1·2·3면)에 대해 "이제는 언론도 잘 다루지 않아 시민들에게서 잊히는 개성공단을 다뤄줘 속이 후련했다. 특히 개성공단에는 인천 출신 기업과 기업인이 많이 활동해 관심 있게 봤다"면서 "어려운 여건에서 기사를 만들어낸 기자들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고 말했다.
양진채 위원은 "개성공단 하면, 남측 기업들의 고통만 생각해왔다. 기사를 보고 북한 노동자들의 생활을 짚어준 내용을 보고 가슴이 뜨거워졌고 울컥했다"면서 "거시적인 측면에서 남북 평화를 다루면서도 세세한 부분을 놓치지 않았던 점이 가장 크게 와 닿았다"고 평가했다.
홍지연 위원은 "지난 5년을 돌아볼 수 있었던 좋은 기사였다"면서 "2회로는 짧았다"고 했다. 이동익 위원은 "개성공단은 단순한 기업활동이 아니라 한반도 평화와 경제교류를 통한 한반도 긴장완화 등의 측면에서 중요한 상징인데, 이를 재조명해 좋았다"고 했다.
저어새의 소식을 다룬 <"저어새야, 잘 돌아왔다" 고향 인천은 환영잔치>(29일 6면) 기사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양 위원은 "시민들의 저어새 탐조 활동뿐만 아니라 개발 훼손으로 먹이터가 사라지고 있다는 현실까지 다루면서 심층적으로 환경문제를 깊이 생각해볼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다리놓이자 여객선 끊긴 옹진 소야도 주민들 "의견수렴 제대로 안해" 반발>(31일 3면) 기사는 "소외된 섬 주민들의 생활을 생각해보게 하는 좋은 기사였다"고 평가했다.
홍 위원은 <'영종 아동학대 사망 사건' 교육부 무단결석 매뉴얼 허점>(5일 4면), <인천내 학대피해 아동 일시보호시설 '이미 포화상태'>(11일 6면) 기사 등 "아동 인권과 관련된 보도가 눈에 띄었다"고 말했다.
그는 "체험학습신청서로 출석을 인정받아 생기는 학생 관리 허점, 학대 피해 의심 아동을 부모로부터 떼어놓는 '즉각 분리제도'에 꼭 필요한 일시보호시설 부족 등 아동 인권의 사각지대를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돋보였다"고 말했다.
<"다친 아들에 패딩 벗어준 부부를 찾습니다">(26일 4면) 기사도 좋은 반응을 이끌어낸 기사로 평가받았다. 이 위원은 "언뜻 보면 기사가 될 것 같지 않은 이러한 미담이 우리 주변에 많을 것 같은데 놓치지 않고 기사화를 한 노력을 높게 평가하고 싶다"면서 "이런 기사들이 우리한테 정말 실질적으로 필요한 기사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신도시 온라인커뮤니티에 휘둘리는 행정'…인천시의회 정면대응>(3일 3면) 기사를 관심을 갖고 읽었다고 했다.
그는 "송도·청라 등 신도시 주민들이 부동산과 교육 문제 등에 목소리를 내면, 선출직 공무원이 민감하게 반응하곤 한다. 반응이 꼭 나쁜 건 아니지만, 그렇게 되면 목소리를 내지 않는 구도심의 주민들이 소외되는 경우도 있다"면서 "어떤 사안에 대해 행정은 입장과 태도를 분명하게 해야 한다. '카페'의 목소리가 주민 간의 갈등과 반목, 혐오를 조장하는 측면이 없지 않다는 걸 언론도 짚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아쉬운 기사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양 위원은 인천시교육청의 제물포고 이전을 통한 교육복합단지 조성 계획을 다룬 <'학생 감소' 인천 명문 제물포고, 동인천서 송도로 간다>(17일 1·3면) 기사는 아쉬운 점이 많았다고 했다.
그는 "기사에 반영된 입장은 인천시교육청, 제물포고 교장 등에 그쳐 있었고, 중·동구 주민의 반대 입장이 거의 실리지 않았다"며 "학부모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시교육청이 주장하는 내용이 실제 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 다루지 않아 아쉽고 섭섭하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제고 이전을 비롯한 학교 이전 문제와 관련 "학교 이전을 단순히 학생 수 감소 등의 문제로만 볼 것은 아닌 것 같다"면서 "앞으로 관계 기관의 어떤 노력이 필요하고 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경인일보가 길잡이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1일 1면 하단에 게재된 '학교 구성원 인권증진 조례' 중단을 촉구하는 광고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이 위원은 "광고도 게재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면서 "차별과 혐오를 조장하는 광고는 수주 과정에서 신중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정리/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