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1401000570800028534.jpg
전곡선사박물관 '오!구석기'展 전시 모습. /구민주 기자 kumj@kyeongin.com

어쩌면 하찮은 돌조각일 수도 있는 '주먹도끼'. 30만 년 전 인류가 손으로 쥐었던 이 돌은 과거와 현재를 만나게 해주는 강력한 매개체다.

동아시아 최초로 연천 전곡리에서 발견된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중심이 된 전곡선사박물관이 개관 10주년을 맞았다.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은 박물관의 정의를 '기·승·전·주먹도끼'라고 강조했다. 지난 10년간 작은 주먹도끼가 사람들에게 얼마나 가치 있는가를 잘 보여준 박물관이 개관 10주년을 맞아 준비한 기념전은 '오! 구석기'이다.

이번 전시는 그동안 박물관을 찾아준 관람객의 요구를 반영했다.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어떤 음식을 먹고, 어떻게 옷을 만들고, 어떤 집에서 살았는지 궁금하다는 관람객들의 의견이 들어간 전시인 것.

2021051401000570800028531.jpg
전곡선사박물관 개관10주년 기념전 '오! 구석기' /구민주 기자 kumj@kyeongin.com

전곡리에서 발굴된 주먹도끼가 박물관의 근간이자 정체성을 보여주듯 중앙에서 관람객을 반긴다. 알록달록한 색의 그라피티가 그려진 벽을 따라 전시장으로 내려가면 지난 10년간 박물관의 활동을 보여주는 인쇄물을 만날 수 있다.

판타지아, 툭투 이야기로 구성된 영상은 상설전시장과 이번 기획전의 내용을 한꺼번에 담고 있다. 툭투 이야기는 1968년에 제작한 이누이트 족의 다큐멘터리로 선사 시대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그들의 삶을 짧게나마 살펴볼 수 있다.

귀여운 외형으로 눈길을 사로잡는 선사시대 집 모형은 독일의 실험고고학자가 만든 플레이모빌 미니어처로 꾸며져 있다.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로 이어지는 주거형태와 생활 모습을 표현한 작품은 관람객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2021051401000570800028532.jpg
전곡선사박물관 개관10주년 기념전 '오! 구석기' /구민주 기자 kumj@kyeongin.com

체코의 실험고고학자가 만든 선사시대의 옷은 구석기시대의 기술로 순록이나 사슴 가죽 등을 사용해 복원한 것으로 이번 전시에서 처음 선보인다. 두터운 가죽옷은 인류를 추운 지방까지 진출하게 해줬고, 식물섬유로 엮어 놓은 옷은 몸의 수분 조절을 조절하며 인류가 환경에 적응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맹수가 남긴 짐승의 뼈에서 골수와 뇌를 훔쳐먹은 초기 인류. 석기를 만들면서 점차 사냥기술이 발전했고, 불을 피우게 되면서 먹거리를 조리할 수 있게 됐다. 이곳에선 다양한 석기의 종류를 전시하고 있는데, 박물관 소장품 일부를 볼 수 있다.

2021051401000570800028533.jpg
전곡선사박물관 개관10주년 기념전 '오! 구석기' /구민주 기자 kumj@kyeongin.com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곳곳에 마련했다. 구석기시대에 등장한 실짜기, 구슬 꿰기와 동물 발굴, 매머드 머리로 만든 모형북 등은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와 함께 '열 개의 물건, 열 개의 이야기'라는 주제로 개관 10주년과 관련된 10개의 물건 이야기를 담은 전시도 볼 수 있다. 개관 당시에 정리해둔 건축 기록물, 이 관장이 직접 만든 주먹도끼, 제1호 뉴스레터 등 박물관 관계자들이 직접 선정한 물건을 통해 숨겨진 이야기를 들려준다.

2021051401000570800028535.jpg
전곡선사박물관 개관10주년 기념전 '오! 구석기' /구민주 기자 kumj@kyeongin.com

오는 7월에는 청동기시대 아이스맨 '외치'와 관련한 실감기술이 접목된 전시장이 문을 열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실감 콘텐츠 공모전에 당선된 박물관은 생생한 외치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관장은 "그동안 전곡선사박물관은 문화재 보존과 활용의 결실을 보는 중요한 사례가 돼 왔다"며 "이러한 가치를 더욱 키워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