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개 종목 중 6개는 보유자 없어
전수장학생 확대·활동비 등 보조

평택 태광고 김주혁
평택 태광고 김주혁
문화재는 문화활동에 의해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을 말한다. 각국의 문화재는 고유의 정서와 역사가 담겨있어 소중히 보호하고 전승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5월부터 경기도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공연과 강습 중단 등으로 무형문화재가 전승되는 과정이 원활하지 못할 것이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 이를 대비하여 그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

무형문화재란 연극과 무용, 공예, 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적 또는 예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을 말하는데 이것이 전승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보유자와 전승 교육자가 필요하다.

무형문화재가 전승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야 한다. 전수생(입문), 이수자(3년 이상 교육 후 심사), 전승 교육사(이수 후 5년 이상 전승 활동, 도 문화재위원회 심의로 결정), 보유자(도 문화재위원회 심의로 결정) 등으로 나눠진다.

그러나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지정 무형문화재 68개(예능 28개, 기능 40개) 중 6개 종목은 보유자가 없고, 34개 종목은 전승 교육사가 없어 무형문화재의 전승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전승 체계 유지를 위한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이달부터 무형문화재 전 종목에 대한 전승 장비, 재료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공연과 작품 제작에 필요한 장비와 재료·소모품을 지원한다.

또한, 전수장학생을 선발하는 기회도 늘렸으며 선발될 경우 5년간 월 25만원을 지급한다. 현재 전수장학생은 18~40세라는 연령요건으로 32명만 선정하고 있지만 도는 6월 중 규칙을 개정해 하반기부터 68명을 지원할 방침이다.

더불어 2021년 연말에는 우수 이수자를 15명 내외로 선정, 1인당 800만원 규모로 연구활동비 등을 지원한다. 이 밖에 전승 교육사에게는 월 60만원, 보유자에게는 월 140만원의 활동비 지원도 이어간다.

이에 관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취재해보았다. 이들은 대부분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 다양한 방안으로 지켜졌으면 하는 의견을 말하고 있다.

김모(43)씨는 "귀중한 우리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또 김모(18) 학생은 "전승에 중요한 것이 돈이 아니라 그 외의 상호작용 등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너무 단편적인 시각에서 다루지 말고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평택 태광고 김주혁

※ 위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