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에 발목 화끈거리고 부어
방치하면 피부궤양 등 합병증

하지정맥류는 잘못된 생활습관과 오래 서서 또는 앉아서 일하는 직업군 특성상 발병률이 증가해 인구의 10%에서 나타날 만큼 흔한 질병이다. 하지만 환자 대부분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방치하거나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정맥 부분에서 정맥순환을 도와주는 밸브가 망가지면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거나 변형되는 질병이다.
초기증상은 발목이 화끈거리고 붓는 증상과 다리에 피로감이 쉽게 느껴진다. 초기에 치료하지 않고 증상이 심화되면 정맥이 보기 싫게 튀어나오고 다리 피로감과 통증이 극심해진다.
지속적으로 방치하면 발목 주위가 붓기 시작하는 부종의 증상과 다리 피부색이 부분적으로 갈색으로 변하는 피부 착색이 오며 말기에는 가려움증, 피부궤양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피부궤양은 정맥의 역류에 의해 정맥류와 이로 인해 조직압이 국소적으로 증가했을 때 발생하는데 심한 경우 피부가 깎여 염증이 유발된다.
하지정맥류의 치료법은 규칙적인 운동과 휴식 약물 요법 등을 이용한다. 가볍게 걷는 것과 다리를 심장 위쪽으로 들어 올린다. 수영 등의 운동은 종아리 근육의 정맥혈의 순환을 촉진하고 정맥벽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 증상이 심하다면 혈관 레이저나 고주파 치료가 필요하다. 레이저나 고주파를 이용해 혈관을 경화시키는 수술이다. 혈관 레이저 수술은 수술시간이 짧고 입원기간을 줄일 수 있어 수술에 대한 부담이 적다.
실생활에서 하지정맥류 예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첫째, 장시간 서 있거나 앉아있는 자세를 피하고 서 있을 때는 발뒤꿈치를 올렸다 내렸다 한다. 앉아있을 때는 다리를 쭉 펴서 발목을 뒤로 젖혀 종아리 근육을 계속 움직여 주는 것이 좋다.
둘째, 체중조절과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비만은 동맥, 정맥에 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적당한 걷기, 등산, 조깅으로 비만 예방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시켜준다.
셋째,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베개 하나 높이로만 들어 올리면 좋다.
넷째, 허벅지와 복부를 꽉 쪼이는 옷은 피를 원활하게 심장으로 보내지 못해 정맥류를 일으킬 수 있다.
다섯째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어야 할 경우 압박 스타킹을 신으면 다리의 정맥피를 보다 원활하게 심장으로 보내 정맥류를 예방할 수 있고 정맥류 진행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