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내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다음 달 7일부터 시작되는 교직원 백신접종을 두고 특정요일에만 백신을 맞도록 종용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금요일'에 백신을 접종하고 주말을 이용해 쉬라는 것인데, 백신에 대한 불필요한 공포감을 해소하기 위해 민간기업에까지 백신휴가제 도입을 검토하는 정부정책과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특히 교사들은 백신 안전성을 두고 설왕설래가 오가는 마당에 접종을 맞고 제대로 쉴 수도 없는 상황이라면 접종 자체를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난 14일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백신접종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설명했다. 도교육청은 교육부 방침에 따라 접종 시 학사운영 방안 예시로 휴업 없이 임시·보결 시간표를 운영하거나 학교별, 학년별로 학교장 재량휴업을 실시하는 등의 방법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백신접종으로 인한 교육과정 운영 공백을 최소화하라고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다수의 학교에서 교사들에게 '금요일 오후에 백신접종을 맞고 주말에 쉬라'는 세부지침을 내렸고 이에 반발하는 목소리들이 커졌다.
경기교사노동조합(경기교사노조)는 "교육부와 도교육청이 교육과정 운영 공백을 최소화하라는 지침을 내려 보낸 것이 화근이 된 것 같다. 실제로 꽤 많은 학교에서 금요일 백신접종 지침을 말하고 있어 항의가 많다"며 "금요일에 백신을 맞은 후 연가를 내지 말고 주말에 쉬며 증상을 살펴보라는 것인데, 이상증세가 어떻게 발현될지 모르는데 병원 이용도 어려운 주말에 이를 강요하는 것은 오히려 백신접종을 꺼리게 하는 역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학사일정에 따라 학교가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고 선을 그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도교육청에서 일괄적으로 특정 요일에 맞으라고 강요할 수 없다. 또 교사들이 아이들을 위해 솔선수범해 백신을 맞는 것인데 안전이 최우선되는 건 당연하다"며 "다만 학교들에서 교육공백 최소화를 위해 그런 지침을 내린 것 같아 문제가 된 지역의 교육지원청에 재차 특정요일 강요를 하지 말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부작용을 우려해 정부가 백신접종을 한 뒤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하는 '백신휴가제'를 민간기업에도 적극 권장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백신접종 후 이상증세가 발현될 때만 병가를 부여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는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교육 공백 최소화와 교사 안전을 위해선 시간강사를 확보하거나 분산접종을 위해 접종자 간 예약 일정을 조정해 대체 수업을 하는 등의 다양한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큰 틀은 교육부 지침대로 정해진 것이라 백신접종과 관련해 경기도만 특별하게 다른 것은 없다. 경기도는 워낙 지역마다 처한 환경이 달라 강사 등을 구하는 것도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학교들도 대체할 강사 채용 등 여러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