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언론사나 기사를 골라 후원할 수 있는 '미디어 바우처'가 있다면 더 좋은 언론을 만들 수 있을까?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국민들에게 생각을 물었다. 국민들 70% 이상이 '그렇다'라고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아직 '미디어 바우처'에 대한 인식은 낮았지만, 제도에 대한 설명을 들은 국민들은 '쓸만한 제도'란 평가를 내놓았다.
'미디어 바우처' 사업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국민들에게 일정 금액의 바우처를 지급, 국민들이 신뢰하는 언론사나 기사를 선택적으로 후원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국내외에서 최근들어 활발한 연구와 제안이 이어지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세계적으로 실시된 사례가 없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9년 경기도가 미디어 바우처 사업 관련 보고서와 실시 제안을 내놓아 주목을 받기도 했다.
'미디어 바우처' 사업은 광고시장 위축과 경쟁 심화로 위기에 빠져들고 있는 한국 언론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방안 중 하나로 꼽힌다. 후원을 통한 재정적 지원 뿐 아니라 '좋은 기사와 좋은 언론사'로 선택 받기 위해 언론 스스로 노력하도록 이끄는 제도란 점에서도 관심이 높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미디어 바우처'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을 읽기 위해 지난 4월 30일부터 5월 4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우선 국민들이 미디어 바우처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미디어 바우처'라는 용어를 들어 본 적이 있는지 질문했다. 결과는 '들어본 적이 있다'가 28.4%, '들어 본 적이 없다'가 71.6%를 차지했다. 아직은 미디어 바우처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부족한 것을 보여주는 수치다.
다음으로 전체 응답자에게 미디어 바우처에 대해 설명문을 제시한 후, 미디어 바우처 제도 실시에 대해 찬반 여부를 물었다. 75.4%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이 중 '매우 찬성'은 27.6%, '약간 찬성'은 47.8%였다. 바우처 제도 실시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17.0%였고,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7.6%였다.
만약 미디어 바우처 제도가 실시된다면 바우처로 언론 후원에 실제로 참여할 의향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에서는 77.7%가 '참여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참여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15.8%,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6.5%를 차지했다.
미이어 바우처 제도가 언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 할 것인가를 묻는 질문에 '기여 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대답이 72.2%를 차지했다. 이 중 26.1%는 '매우 많이 기여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46.1%는 '약간 많이 기여할 것'이라고 답했다. '언론 향상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21.5%를 차지했고,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6.3%였다.
미디어 바우처 제도로 국민이 신뢰하는 보도가 많아질 것인가를 묻는 질문에도 75.4%가 '그렇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부정적 응답은 20.7%에 그쳤다.
미디어 바우처 지급 대상과 관련한 질문에는 국민들의 생각이 나눠졌다. '바우처를 신청한 국민에 한정해서 지급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8.1%로 가장 높았지만, '전국민에게 일괄적으로 지급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응답도 30.8%를 차지했다. 21.1%는 '아직 잘 모르겠다'고 답해 이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함을 시사했다.
미디어 바우처로 후원하고 싶은 뉴스 기사로는 '허위정보 사실검증 기사'가 86.8%로 가장 많이 꼽혔다(복수선택). '정치인 및 기업 비리 고발 기사'도 86.4%가 선택했고, '기후변화를 비롯한 전문적 보도' 76.1%, '역사적 교육적 가치가 있는 보도' 74.5%, '지역의 중요 현안을 다루는 기사' 73.1%, '사회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기사' 72.3% 순으로 많은 선택을 받았다. 반면 '나의 정치적 입장을 대변하는 기사에 후원하겠다'는 응답은 41.2%로서 가장 적었다.
이번 조사의 자세한 결과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하는 <미디어 이슈> 7권 3호 '미디어 바우처 제도에 대한 국민 의견'에 실렸다.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www.kpf.or.kr)에서 미디어정보→정기간행물→미디어이슈로 찾아들어가 내려받기 할 수 있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