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방제 일변도 탓 되레 확산
"생태 특성 고려 전략 마련을"
매년 반복되는 매미나방 유충이 이제 경기도 전역으로 번졌다. 매년 5~6월이 한창인 매미나방 유충은 군포 등 일부 지역에서만 몸살을 앓다 이제는 안양, 용인, 안산 등 도내 도심 지역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지자체뿐 아니라 경기도, 산림청까지 앞다퉈 해마다 '매미나방과의 전쟁'을 선포, 방제에 나섰지만 효과는 크지 않았고 해가 거듭될수록 개체 수는 훨씬 늘어나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농약 살포와 같은 화학요법에만 치우친 방제가 오히려 매미나방 유충의 확산을 부추긴다고 입을 모은다.
군포시 수리산 산림욕장에는 '병해충예찰단원' 3~4명이 모여 방제 작업에 한창이다. 예찰단원인 신모(62)씨는 철제 난간에 줄줄이 붙은 유충을 겨냥해 농약을 연신 살포했다. 신씨는 "여덟, 아홉, 열…"하며 벌레를 세어보더니 "죽여도 죽여도 계속 나오니 원"이라며 한숨을 푹 내쉬었다.
경기도 내 지자체들은 지난해부터 매미나방 유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약제 살포 등 화학 방제를 집중적으로 벌이고 있다.
군포시는 병해충예찰방제단을 운영하는 것은 물론, 지난달부턴 드론을 이용해 수리산 등에 농약 방제를 했다. 안양시도 도심 속 가로수까지 점령한 유충을 퇴치하기 위해 산불진화차량을 이용해 농약을 살포했다.
문제는 지자체들의 노력에도 유충은 도심 속까지 파고들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매미나방 유충의 확산이 겨울철 이상고온 등 기후변화 탓도 있지만 '화학 방제 일변도'의 방제정책을 원인으로 꼽았다.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류동표 교수는 "기후변화 영향도 있지만, 농약 등 화학 중심의 방식이 매미나방 창궐을 막지 못한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산림청과 지자체 등 방제 주체가 방제 계획의 첫 단추부터 다시 끼워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양영철 교수는 "지난 2018년부터 매미나방 문제가 불거졌는데, 당시에 세밀한 계획을 세웠다면 상황이 이렇게까지 나빠지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매미나방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전략을 고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지영기자·조수현수습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