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jpeg
좋은 위치와 높은 가치에도 불구하고 매각이 지연되고 있는 성남시 분당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옥. /경인일보DB


안양·남양주·용인·성남시 소재
국토부 "노력중, 용도변경 조심"

공공기관 이전에 따라 매각해야 하는 경기 지역 종전부동산이 해를 거듭하도록 매각되지 못하면서 골칫덩이로 전락하고 있다.

3일 기준 현재 남아있는 종전부동산은 총 6곳으로 이 중 4곳(안양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용인 한국전력기술, 성남 LH(한국토지주택공사) 오리 사옥, 남양주 중앙119구조본부 수도권119특수구조대 헬기장)이 경기도에 있다.

종전부동산은 수도권에서 혁신도시 등으로 이전해야 하는 공공기관이 수도권에 소유한 건축물과 부지를 뜻한다. 공공기관들은 종전부동산 부지를 매각해 이전에 필요한 부지 매입이나 청사 신축 등에 소요되는 재원을 조달해야 한다.

그러나 도내 종전부동산 4곳은 공공기관들의 이전이 완료됐음에도 여전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총 19차례 매각공고를 올렸던 안양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매각 예정액 43억원)은 지난해보다 매각 예정액을 4억원가량 낮췄지만 지난달 공고에서 입찰자가 나타나지 않아 결국 유찰됐다.

남양주에 소재한 중앙119구조본부 수도권119특수구조대 헬기장(87억원)도 지난달 공고에 입찰자가 없어 재공고 절차를 밟는다.

용인에 소재한 한국전력기술은 총 22회 매각을 추진했지만 유찰됐다. 이곳은 지난 2018년 5월 이후부터 매각 입찰을 잠정 유보했었다. 올해 감정평가를 진행해 이달 중 매각 계획 여부를 결정한다. 매각예정액은 지난해 576억원에서 700억원으로 가치가 상승했다.

성남 LH 오리 사옥은 매각 예정액이 4천500억원에 달한다. 오리 사옥도 14차례나 매각 절차를 밟았지만, 응찰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욱이 최근 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지고, 조직 개편 등에 대한 얘기까지 나오면서 매각 계획은 나오지 못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매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용도 변경은 시·군에서 권한을 갖고 있는데 특혜 시비가 불거질 수 있어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원근기자 lwg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