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2.jpg
서울 마포구 자원회수시설에서 쓰레기를 소각장으로 옮기는 크레인 운전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2021.3.15 /연합뉴스


'추가 설치' 질문에는 76% 긍정적
응답한 구청장 20명중 17명 '반대'

서울시 대체 매립지 확보 없을 땐
사용 연장 명분으로 작용할 수도

인천시의 '2025년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사용 종료' 정책과 연관이 깊은 서울시 광역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을 거주지 근처에 설치하는 데 찬성한다는 서울시민 비율이 70% 가까이 나왔다.

서울시는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월 말~5월 초 서울시민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주지 근처에 소각장을 설치하는 데 찬성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69.6%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는 25.7%, 모름은 4.7%로 조사됐다.

'서울시에 쓰레기 소각장을 더 짓는 것에 대한 의견은'이란 질문에선 응답자 76.1%가 찬성했다. 반대는 19.7%, 모름은 4.3%로 나타났다. 다만 서울시가 25개 자치구 구청장에게 질문지를 보내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한 구청장 20명 중 17명이 소각장 설치에 반대 의견을 냈다.

서울시는 하루 1천t 처리 규모의 소각장을 추가로 건립하기로 하고, 내달까지 소각장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해 올해 9월 최적 후보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서울에는 광역자원회수시설 4개와 단독자원회수시설(은평구) 1개가 있지만, 처리 용량이 부족해 상당한 규모의 생활폐기물이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에 그대로 묻히고 있다. 서울시가 수도권매립지에 버린 생활폐기물은 2015년 하루 평균 719t에서 2019년 969t으로 점점 늘고 있다.

환경부는 2026년 1월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금지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소각장 추가 건립을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다. 2026년부터는 소각 등 중간 처리를 거친 잔재물만 매립할 수 있는데, 현재 서울시의 처리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소각장 확충이 필수다. 같은 이유로 인천시도 자원순환센터(소각장)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가 '발생지 처리 원칙'을 내세워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하겠다고 선언한 것도 서울시의 소각장 확충 노력을 이끌어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올해 3월 인천 자체매립지 '인천에코랜드' 입지를 옹진군 영흥도로 최종 발표하면서 "수도권매립지를 기한 내까지 마음대로 쓸 수 있게 했다면 서울시가 소각장 확충 노력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물론 서울시의 소각장 확충은 수도권 대체매립지 확보를 수반해야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가 가능하다. 서울시가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 확보 없이 소각장만 새로 짓는다면, 결국 소각재 매립으로 매립량을 줄이면서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연장하려는 명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환경부와 서울시·경기도는 지난달 10일부터 내달 9일까지 수도권 대체매립지 재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1차 공모 때와 마찬가지로 관심을 보이는 지역이 없어 '재공모 불발' 전망이 우세하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