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1601010006305.jpg
16일 가평종합장사시설건립추진 자문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가평군 제2청사 주변에서 광역 장사시설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들이 '화장장 결사 반대'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2021.6.16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

가평 지역사회가 가평 공동형종합장사시설 건립 사업을 두고 지역 주체 간 견해차를 보이며 혼란을 겪고 있다. 1·2차 공모에서 입지 신청지 모두가 부적합 판정을 받으면서 가평군은 최근 3차 공모 불추진, 주민 토론회 개최 등을 방안으로 내놨다.

이번에 내놓은 방안은 사실상 반대 측 등의 요구안을 수용한 것으로 이는 군의회에서도 권고한 사항이다. 가평군수 주민소환을 진행하고 있는 청구인 측이 요구한 내용이기도 하다.

군의회는 이러한 군의 입장표명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이 문제가 일단락된 것으로 관측됐으나 갈등은 해소되지 않은 채 여전하다.

최근 김성기 군수가 언론사 등에 배포한 기고문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내놓은 군 방안이 기고문에 거론되지 않으면서 해석이 분분하다는 지적이다.

반대 측은 '아무리 힘들고 고단한 가시밭길이라고 하더라도 꿋꿋이 그 길을 걸어갈 것'이라고 밝힌 기고문을 배포한 저의에 대해 앞서 군이 내놓은 방안을 부정하는 것 아니냐며 반문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이에 김성기 군수는 지금까지 이 사업을 추진하면서 가지고 있던 생각을 글에 담았을 뿐 3차 공모 불추진과 주민 토론회 개최 등 군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는 것이다.

20일 가평군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남양주시, 포천시 등 인근 지자체와 함께 공동형 장사시설 건립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군은 그간 화장장이 없어 주변 타 시군으로 원정길에 나섰던 지역주민들의 어려움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2021033001001247400062771[1]
가평 공동형종합장사시설 조감도. 2021.5.9 /가평군 제공

이에 군은 이들 지자체와 '가평 공동형 장사시설 건립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이와 함께 장사시설 건립추진 자문위원회를 구성, 본격 사업 추진에 돌입했다.

사업의 규모 절차 등을 포함한 추진계획과 '장사시설 유치 지역 및 그 주변 주민지원 기금 및 건립사업 특별회계 설치·운용 조례' 제정 절차도 병행했다. 이후 같은 해 12월 1차 공모에 들어가 3개 마을이 유치 신청했으나, 이들 마을은 서류심사, 입지 타당성 용역 평가 등을 거치면서 모두 탈락, 재공모에 들어갔다.

하지만 몇몇 마을에서 반대대책위가 구성되는 등 주민 간 내홍이 일기 시작됐다.공동형 장사시설을 반대하는 단체도 생겨났다.

급기야 김성기 군수 주민소환 절차도 진행되고 있다.

청구인 측은 전면 반대가 아닌 단독형 장사시설 건립에는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소환 투표 동의 서명운동은 오는 30일까지이며 8천267명 이상 서명을 받아야 주민소환 투표를 위한 청구서명 요건을 충족시키게 된다.

군은 지난 3월 1차 공모 선정 무산 이후 공고(신청) 기간을 50일에서 60일로 10일 연장하고 입지 조건 중 하나인 세대수 기준으로 70% 주민 동의 기준을 55%로 하향 조정했지만 유일한 공모지는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에 군은 '3차 공모는 진행하지 않는다', '이른 시일 내에 주민 토론회를 개최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김성기 군수는 "장사시설 유치 배경, 장묘문화관광지 조성 이유, 장묘문화관광 사례 분석, 주민 소환제 등에 대한 소회를 밝힌 것"이라며 "아직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장사시설 유치 공약사업에 대해 주민소환을 진행하고 있는 반대 측은 물론 대다수 군민에게 진실한 뜻을 밝히기 위해 마련한 것"이라며 기고문 배포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주민소환 청구인 측 관계자는 "토론회를 하자고 하더니 같은 날 이에 반하는 기고문 배포라니 가평군 행정에 유감"이라며 "주민소환 투표 동의 서명 운동은 계속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