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2일 제주도가 장마철에 접어든다.
수도권을 포함한 중부지역은 7~8일 비 예보가 있지만, 서쪽 저기압에 따른 비일 가능성도 있어 장마로 예단하긴 이른 상황이다.
기상청은 28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우리나라 북쪽 상층에 철옹성처럼 버티던 찬 공기때문에 지금까지 정체전선이 북상하지 못했지만, 남·북 기압계가 변화하고 있다"며 "찬 공기의 세력이 약해지고,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정체전선이 서서히 북상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 수치예보모델인 KIM은 내달 2일 우리나라 제주도 인근까지 남북으로 폭이 좁고 동서로 긴 정체전선이 북상해 비를 뿌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7월 2일을 전후해 제주도가 장마철에 접어든다"고 말했다.
제주도가 장마철에 들어간다고 해서 곧바로 우리나라 전역으로 확대되는 건 아니다. 설령 이후 비가 오더라도 정체전선에 의한 비가 아니면 장마로 보기 힘들다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기상청은 내달 2일 제주도, 4일 이후 충북 내륙지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예측대로라면 4∼5일 전라도와 남부지방, 7∼8일 충청도까지 정체전선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기상청은 신중한 입장이다. 이때 내리는 비 모두 서쪽에서 생긴 저기압이 관여하기 때문에 강수 영역과 시점이 매우 가변적이고, 이를 장마로 볼 수 있을지도 아직 미지수라는 것이다.
수도권을 포함한 중부지역은 7~8일 비 예보가 있지만, 서쪽 저기압에 따른 비일 가능성도 있어 장마로 예단하긴 이른 상황이다.
기상청은 28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우리나라 북쪽 상층에 철옹성처럼 버티던 찬 공기때문에 지금까지 정체전선이 북상하지 못했지만, 남·북 기압계가 변화하고 있다"며 "찬 공기의 세력이 약해지고,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정체전선이 서서히 북상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 수치예보모델인 KIM은 내달 2일 우리나라 제주도 인근까지 남북으로 폭이 좁고 동서로 긴 정체전선이 북상해 비를 뿌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7월 2일을 전후해 제주도가 장마철에 접어든다"고 말했다.
제주도가 장마철에 들어간다고 해서 곧바로 우리나라 전역으로 확대되는 건 아니다. 설령 이후 비가 오더라도 정체전선에 의한 비가 아니면 장마로 보기 힘들다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기상청은 내달 2일 제주도, 4일 이후 충북 내륙지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예측대로라면 4∼5일 전라도와 남부지방, 7∼8일 충청도까지 정체전선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기상청은 신중한 입장이다. 이때 내리는 비 모두 서쪽에서 생긴 저기압이 관여하기 때문에 강수 영역과 시점이 매우 가변적이고, 이를 장마로 볼 수 있을지도 아직 미지수라는 것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장마는 남북으로 폭이 좁고, 동서로 긴 정체전선에 따른 비로 설명되는데, 저기압이 관여하면 이보다 남북 폭이 넓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 말할 수 있는 건 2일 전후로 제주가 장마철에 접어든다는 것이고, 그 외 지역에서 언제 장마가 시작할지는 변동성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의 예측에 따라 수도권 장마는 좀 더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 현재 예측이 다 맞더라도 정체전선은 충북까지 북상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 장마가 언제 시작해 언제 끝날지는 예단하기 어렵게 됐다.
역대 수도권 장마 중 가장 늦었던 건 7월10일에 시작해 29일에 끝났던 1982년이다. 제주 장마 시작일도 7월5일로 가장 늦었다. 다만 강수량 195.4㎜를 기록했던 당시와 달리 이번엔 많은 비가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정체전선과 저기압 어우러지면서 내리는 비로 강한 비구름대가 될 가능성이 있다"며 "차고 건조한 공기의 세력은 점차 약해지나 장마 기간 남아 있을 소지가 있어서 대기불안정으로 순식간에 벌어지는 집중호우나 폭우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상청의 예측에 따라 수도권 장마는 좀 더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 현재 예측이 다 맞더라도 정체전선은 충북까지 북상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 장마가 언제 시작해 언제 끝날지는 예단하기 어렵게 됐다.
역대 수도권 장마 중 가장 늦었던 건 7월10일에 시작해 29일에 끝났던 1982년이다. 제주 장마 시작일도 7월5일로 가장 늦었다. 다만 강수량 195.4㎜를 기록했던 당시와 달리 이번엔 많은 비가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정체전선과 저기압 어우러지면서 내리는 비로 강한 비구름대가 될 가능성이 있다"며 "차고 건조한 공기의 세력은 점차 약해지나 장마 기간 남아 있을 소지가 있어서 대기불안정으로 순식간에 벌어지는 집중호우나 폭우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